순정한 미술…개념미술 대표작가 3인 주재환·박이소·최정화 ‘쓰리스타 쑈’ 展

단색조의 모더니즘 회화가 최근 국내외 미술시장에서 비상한 관심을 끌면서 한국 현대미술을 구성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이 빛을 잃고 있다. 눈보다는 두뇌에 자극을 주는 ‘개념 미술’(conceptual art) 이 바로 그런 케이스다. 형식이나 재료와 같은 전통적인 미술의 가치기준과는 다른 차원의 ‘개념성’을 독해하기가 까다롭고 상업성과도 거리가 멀어 외면당하고 있지만 컨템퍼러리 아트(동시대 예술)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흐름이다. 서울 종로구 효자동의 인디프레스 갤러리에서 열리는 ‘쓰리스타 쑈’가 관심을 끄는 이유다. 한국의 개념미술 태동기부터 현재까지 각기 다른 맥락에서 작업한 주재환(74), 박이소(1957~2004), 최정화(54) 등 세 작가를 통해 개념미술의 원류를 탐색하고 계보를 정리하는 전시다.

주재환은 입학한 지 반년 만에 다니던 미술대학을 중퇴하고 20년간 다양한 직종을 전전하다 1979년부터 ‘현실과 발전(이하 현발)’의 동인으로 활동을 재개하면서 창립전에 ‘계단을 내려오는 봄비’(1980)를 출품했다. 아방가르드 예술의 선구자로 추앙받는 마르셀 뒤샹의 작품 ‘계단을 내려오는 나부’를 패러디한 것으로 서구 모더니즘을 모방하는 맥락을 깔면서 시대의 총체적 난맥상을 꼬집었다. 이후 그는 줄곧 현실을 살짝 비트는 방식으로 담담하고 재기 넘치는 작품들을 발표해 왔다. ‘광땡’(1981), ‘미제 껌 송가’(1987) 등은 세태와 현실을 풍자의 틀에 담은 작품들이다. 봉투에 흰 가루를 담아 놓고 설탕인지, 소금인지 묻는 ‘설탕소금’(2008)은 진정 세상에 진실이 있는 것인지를 묻는다. ‘다이아몬드 8601개 vs 돌밥 54’(2010), ‘현기증 12’(2011),‘마태효과’(2011) 등에서는 자본주의적 빈익빈 부익부 현상과 예술제도 및 미술시장의 허상을 꼬집는다. 

서구의 개념미술을 한국에 본격적으로 소개한 박이소는 2004년 4월 26일 심장마비로 갑자기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자본주의의 천박함에 대한 비판과 예술과 사회에 대한 성찰을 포기하지 않았던 작가다. 홍익대 졸업 후 미국으로 이주해 미국 프랫인스티튜트에서 공부하고 활동하면서 그는 한국인이라는 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했고 번역문제에 집중하는 글쓰기와 작업에 몰두했다.

이번 전시의 제목으로 차용된 그의 작품 ‘쓰리스타 쑈’(1994)의 경우 각각의 별은 커피, 간장, 콜라로 그려진 것이지만 얼핏 봐서는 구분이 안 된다. 이 세상이 다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것으로 구성돼 있으며 우리가 그 다른 것들을 알아볼 수 없음을 은유하는 작품이다. 같은 해의 작품 ‘삼위일체’에서는 커피, 콜라, 간장 혼합액으로 그린 국수를 통해 문화적 혼성이 일상화된 시대적 상황을 표현했다. 난을 친 듯이 잡초를 그려 놓은 ‘그냥 풀’(1988)과 ‘잡초도 자란다’(1988)는 개념성이 왜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북두팔성’(1997)은 다름을 볼 줄 하는 시선의 중요성과 다른 것이라면 무조건 이상하게 받아들이는 편견을 꼬집은 것이다. 미술적으로 버림받은 합판, 각목, 박스 등을 재료로 미완성인 듯 어설프게 만든 그의 작품들에는 교묘한 반어적 여운이 드리워져 있다. 

작가 최정화는 후기 자본주의의 출범과 대중매체의 확장이라는 시대적 변천 속에 키치적 감성이 강한 작품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예술과 생활을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고급이라거나 격조라거나 예술이라거나 하는 것과는 대척점에서 싸구려에 번쩍번쩍하고 울긋불긋한 요란함이 그가 예술을 보여주기 위해 채택한 코드다. 그는 생명의 이야기를 죽음의 재료인 플라스틱으로 한다. 생멸이 사라지고 영원히 피어만 있는 거대한 플라스틱 꽃은 현대사회의 모순 그 자체인 셈이다. ‘세기의 선물’(2013), ‘연금술’(2014), ‘철기시대’(2014) 등 일련의 작품들은 고등한 예술이 진짜 예술일 수 없음을 풍자한다. 



인디프레스의 김정대 대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전반에 걸쳐 활동했던 주요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은 지금의 동시대 미술이 태동하게 된 근원으로 상정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여진다”면서 “물건으로서의 예술을 거부하고, 상업주의에 대한 철저한 반동으로 드러나는 개념미술은 어쩌면 예술 그 자체의 순정성과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전시공간이 협소해 소개된 작품은 많지 않고, 있는 것도 보잘것 없어 보일 수 있지만 나름 하나하나 특별한 가치가 있는 것들이고, 그 속에 담긴 메시지 또한 들여다볼수록 의미심장하다. 전시는 2015년 8월 15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14020004


http://www.pikore.com/m/1028638806339522471_1981830802
July 2015, Seoul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