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Good afternoon. My name is Clemens Krümmel.
안녕하세요. 클리멘스 크뤼멜 입니다.
I am an art historian, writer, translator - and
sometimes I also work as a curator.
저는 미술사가, 저술가, 번역가이며 가끔 큐레이터로도 활동합니다.
I am speaking to you from Berlin in Germany.
이곳 독일 베를린에서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Before I start my short presentation, I first want
to thank Gregory Maass and Nayoungim
먼저 그레고리 마스와 김나영씨에게
for inviting me to talk about the subject, the
object of your conference.
이 주제에 관해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Mr. Douglas Park.
또한 더글라스 파크씨.
I apologize for not being able to be present with
you out there in Seoul
서울을 방문하여 함께하지 못한 것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
health
reasons have prevented me from flying there this time.
건강상의 문제로 참여가 어려웠습니다.
But I already had the opportunity to give a video
presentation in Seoul on one other occasion,
하지만 저는 이미 영상을 통해 서울에 계신 여러분을 뵌 적이 있고
각주) stuffs! 강연, 서울
yet – let me tell you that I am still looking for a
good way to work with this medium.
현재도 영상을 이용한 좋은 방법을 찾는 중입니다.
So please bear with me as I stumble along the
path I have set for myself.
저의 이번 시도가 견딜만 하기를 바랍니다.
My talk has the title Speech's Matter.
이 강연의 제목은 ‘언어소통의 중요성’ 입니다.
When Greg and Nayoung drew my attention to the
works of Douglas Park,
그레고리와 나영이 더글러스 파크의 작품을 보여주었을때
whom I have until today never met in person, I was
immediately hooked.
아쉽게도 더글러스 파크를 만나보지는 못했으나 매우 관심 있게 보았습니다.
To say that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immaterial" art productions would be misleading,
제가 ‘무형’ 예술에 빠져있었다고 한다면 잘못된 표현이겠죠.
because everything that matters needs at least
temporarily a material support.
모든 것은 어떤 형태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Douglas Park, who works not only with texts (in a
degree of intensity that you could call him a writer) but mostly and especially
with words,
텍스트뿐만 아니라, 주로 그리고 특별히 단어로 작업하는 더글러스 파크는 처음에는 인상에
first seemed to me to be an adherent of that
uncontainable craze for what many people in the art field nowadays like to call
"performance lectures".
요즘 예술계의 많은 이들이 ‘퍼포먼스 강연’이라고 하는 것에 대한 폭발적인 지지를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Indeed, like many of the artists who work in that
self-moulded interstitial space between artistic speech and academic speech,
물론 더글러스 파크는 학계와 예술계 사이를 넘나드는 많은 작가들처럼
Park is highly conscious of his ancestors.
선조에 대해 강한 의식이 있습니다.
But unlike many,
그러나 그가 대다수와 다른 점은
he does not bob up and down like a nervous pimp
심란한 영혼마냥 난리를 치며
trying to correctly spell out his triad background
to some youngsters who are coming on to him,
그를 따르는 젊은이들에게 자신의 다국적 배경을 강요하지는 않는 겁니다.
he does not merely indulge in the Old Name Game,
그는 과거와 현재의 작가들에 대해 쓰며
when he writes about older and contemporary
artists,
이름이나 한참 나열하는 짓은 하지 않죠.
it always remains very clear that he is acting out
an investigative impulse
모방하기보다는
rather than a mimetic one.
분석적인 감각의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Even if his approach seems erratic and unsystematic
at times,
가끔 그의 접근이 변덕스럽거나 비체계적이더라도,
even if he makes up a maze of uncheckable factoid
connections
또한 예술가, 발상과 작업 사이에
between artists, ideas and practices,
확인불가능한 연관 가능성을 마구 만들더라도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is wide awake.
그의 역사적 인식은 훌륭합니다.
Sometimes, some significant times,
그것은 몇 가지 중요한 사례에서 보듯
it sees a takeover from the world of systems and
structure, the world of language,
체계, 구조, 언어의 세계를 모두 아우르는데
but not only in a traditional poetic sense,
기존의 시적인 방식뿐만 아니라
but in the sense of signal-to-noise,
신호 대 잡음비의 식으로
of the semiotic adventures of speech.
언어의 기호론적 모험으로 다가갑니다.
"Spoken word", a genre that has haunted
the West since the 1980s,
서구가 1980년대부터 부담을 느껴온 장르 “Spoken
word”로는
appears only half appropriate as a description
더글러스 파크의 구어 바탕의 퍼포먼스를
of what goes on in Douglas Park's speech-based,
performative works.
완벽히 설명할 수 없습니다.
Whoever has read one of his paratactic texts,
그의 단순 나열된 텍스트와
has watched him battle his acoustic environment in
amplified speech,
증폭된 언어로 음향적 환경을 살펴나가는 방식이나
whoever has listened to words being transported into and
out of his mouth
그가 순간순간 텍스트를 읽을 때
moment after moment when he reads one of his texts,
단어들이 그의 입속에서 들어갔다 나오거나
will have noticed that he or she was not witnessing
a "reading".
하는 것을 목격한 이들은 그것이 ‘읽는’ 행위는 아닌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Instead, Park's articulate attitude encourages us
오히려 더글러스 파크의 분명한 태도는
to focus on single elements of words,
단어 속
on vowels, syllables, words, composites,
모음, 음절, 단어, 복합적인 요소들에 집중하도록 우리를 유도합니다.
which only in one portion of his work accumulate to
sentences and paragraphs.
그의 작품 한 부분에서 이것들이 축적되어 문장과 문단이 됩니다.
It seems banal to say that modernism has since its
beginning paired the scrutiny of reason
모더니즘이 정밀한 논리와 언어로의 표현에 대한 반감을
with a heavy grudge against the use of language as
a power tool.
엮었다고 한다면 시시한 표현이 될것 같습니다.
In Park's works, language is under a general
suspicion.
더글러스 파크에게 언어는 기본적으로 경계대상입니다.
When it comes to trusting into language, count him
out.
언어에 기댄다? 그는 아닙니다.
The paratactic approach that he uses when he reads
out,
그가 낭독할 때의 병렬적 접근은
to not only expand into the notional and phatic
spaces that speech offers,
구어의 개념적, 의례적 면을 확장할 뿐만 아니라
but also to line up words, the sound, their
facture, their texture,
단어와 소리, 골절, 감촉을 제시하는
like pearls on a shaky string - in TIME,
시간 속 흔들리는 줄에 매달린 진주와 같습니다.
I claim that it is a meaningful component of his
mastery
저는 이것이 소리를 모호하고 수상쩍게 만드는
to make words sound like something extremely
equivocal and even fishy.
그의 우수한 능력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It always remains a speaking act,
그것은 항상 소리를 내 말하는 행위,
not in an emphatic sense (in which articulate
speech always only appears as a tool of empowerment of a subject),
힘있는 연설에서 오는 강요하는 느낌보다는
but rather in the sense of speech as a tool of
caution.
신중함을 바탕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By taking out, or leaving out, most syntagmatic
grammatical elements that usually regulate the
서구의 언어에서 두드러지는 긴 문장이나 문장 속 조립적인 부분 등
economy of power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언어 속 에너지의 흐름을 주관하는
especially in Western languages, by avoiding larger
sentence and sub-sentence constructions,
통합적인 문법을 가감하며
he carves out of language what really makes it
tick, what really gives it its power over people:
더글러스 파크는 사람들이 언어 속의 무엇에 진짜 영향을 받는지를 드러냅니다.
the incredible situational power of the
continuously moving and elusive present,
항상 변화하고, 잡을 수 없는 시공간의 현재
the ungraspable present tense of time-space.
그것의 엄청난 힘을 말이죠.
I think musicologists first seriously presented the
common observation that
아마도 음악 연구가들은
when we hear, when we listen, when we perceive what
has always been explained to us as "external" sensory
"data",
우리가 소리를 듣는 등 외부적인 정보라고 알려진 것을 접할 때
we are uneasily sitting on an almost inconceivably
small plateau
금방 까먹을 수 있는 것을 간신히 붙잡고 있다는 점을
that is floating between clouds of forgetfulness.
먼저 발견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Our focused attention is an arrière-garde,
우리는 전위(아방가르드)가 아니라
not an avant-garde.
후위(아리에르-가르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It not particularly elegantly staggers behind what
it perceives,
이것은 의식하는 것을 주춤주춤 따라오지 않으며
it strives to memorize certain parts,
부분 부분의 기억을 추구하고
despairing at the challenge of a culture
fraudulently built on "memory" and "history",
부정하게도 유령이나 공포감 등 기억과 역사로
arranging itself with ghosts and spectres.
가꾸어진 문화에 대한 유감을 가집니다.
In his groundbreaking essay "Obliscence -
Theories of Forgetting and the Problem of Matter" (1946), memory
researcher Geoffrey Sonnabend wrote:
기억 연구학자 제프리 소나벤드는 그의 1946년 대작인 ‘망각 – 잊어버림과 물질의 문제’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We, amnesiacs all,
기억상실증 환자 우리는 모두
condemned to live in an eternally fleeting present,
항상 우리를 지나치는 현재를 살도록 저주받았고
have created the most elaborate of human
constructions.
인류 존재 아래 가장 정교한 장치를 만들게 되었다.
Memory, in order buffer ourselves
기억은 반복할 수 없는 시간에 대한 두려움에 반하여
against the intolerable knowledge of the
irreversible passage of time
and the irretrievability of its moments and
events."
우리가 살 수 있도록 부추긴다.
Sonnabend believed that long term or distant memory
was illusion,
소나벤드는 장기기억은 거짓된 환상이라 믿었지만,
but similarly he questioned short term or immediate
memory.
단기적 기억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지곤 하였습니다.
On a number of occasions, Sonnabend wrote
"there is only experience and its decay".
여러 번 그는 ‘경험과 그것의 부패가 있을 뿐이다’고 하였습니다.
By which he meant to suggest that what we typically
call short term memory is, in fact,
우리가 흔히 단기기억이라고 하는 것은
our experiencing the decay of an experience.
사실 경험의 부패를 경험하는 일이라는 것이죠.
In light of such theses that have become quite
popular in memory research,
이런 기억의 연구에 비추어
Douglas Park's reading-out of long rows,
더글러스 파크가 선보이는 긴 문장 읽기,
of successions of formulaic expressions
지난 세기에 대담한 일부 과학자들이 ‘평범’하다고 한
from what some scientists were audacious enough to
call "normal language" in the last century,
정형화된 표현의 잇따름 등은
have more to offer than a lugubrious parade of
notions acquired, perceived and processed.
그저 그가 깨닫고 가공한 생각을 우울하게 늘어놓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By his seemingly infallible choice of "power
words",
그의 단어 선택은 완벽합니다.
bureaucratic words that could resound from some
British postwar educational flick on social hygiene,
전쟁 후 영국의 사회적 청결 교육에서 따온 것 같은 관료주의적 단어들,
by his speculative verbal constructions, and
especially by their painstakingly concentrated arrangement in sounding
sequences,
위험한 구어 표현, 소리의 흐름에 집중된 정렬 방식 등으로,
we are able to experience fundamental propertie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우리는 언어와 소통에 대한 근본적인 특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and what's more, we feel language's "lie of
truth" at every turn that his vocal chords, his tongue, his lips, his
teeth, his resounding and twitching body tells us.
그뿐만 아니라, 그의 목소리, 혀, 입술, 이빨의 움직임, 소리의 변화, 몸의 뒤틀림 등으로 언어의 ‘사실에 대한 거짓말’을 볼 수 있습니다.
I think that is something. It is something that
matters to me.
굉장하죠. 저에게는 의미 있게 다가옵니다.
But does it matter? How does it matter?
하지만 정말 그게 의미가 있을까요? 어떻게?
I feel we cannot survive without the knowledge that
Douglas Park turns our attention to (even if he does not really
"convey" it or "explain" it).
더글러스 파크의 발상 없이는 우리가 살아남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물론 그가 우리에게 실제로 설명해 주지 않을지라도 말이죠.)
We also cannot survive with it, maybe not even live
with it, as long as we remain
우리는 언어의 잘못된 약속과 그가 말을 이어갈수록 감각이 사라진다는 사실에 집중해서는
-
as he
does in such an exemplary fashion – fixated on the continuously broken promise
of language, the perceivable disappearance of sense as he speaks, as we speak,
as it were.
더글러스 파크가 보여주듯, 이것 없이 살 수도, 이것과 함께 살 수도 없습니다.
To me, his speech and his speaking matter, inasmuch
as it is profoundly excited,
저에게는 그의 스피치가 매우 흥미로운데,
as it is agitated beyond the rhetorical calculation
of effects.
효과의 수사적인 계산을 넘어서기 때문이죠.
Douglas Park audible (and visibly) subjects himself
to the bitter law of deceit –
더글러스 파크는 시각과 청각적으로 속임수의 법칙에 질문을 던집니다.
that is not everything of language, but that is
always present in it.
속임수는 언어의 모든 것은 아니지만, 항상 존재하죠.
Moreover, Park's voice is not only phatic or
phonic, it is also plastic.
더구나 더글러스 파크의 목소리는 의례적이거나 발음상의 언어를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조형적이기도 합니다.
No, there is no "Man inside his Mouth",
but inside him,
그렇다고 그의 입속에 다른 자아가 있는 것은 아니고,
there is a curious appreciation of the faucal
space,
목구멍에 대한 호기심이 있어서
we are not just led to believe that in some weird
paragone he is joining together speech and sculpture.
그가 그냥 이상하게 스피치와 조각작품을 합쳐놓은 것은 아니라고 믿게 됩니다.
With the resonant matter that is his body, by
chiseling away vibrant air inside his mouth,
공명을 불러일으키는 그의 몸을 이용하거나, 입속의 공기를 내뿜거나
by reacting within the experiential radius that we
tend to screen out – omnipresent inexorable soundworld –
우리가 흔히 무시하는 냉혹한 소리의 세계에 실험적으로 반응하거나
the silence as freedom from one's intentions that
John Cage keeps striking us over the head with,
존 케이지가 계속 강조하는 침묵으로서의 자유를 이용하여
Park leaves us with a refreshed sense of doubt.
더글러스 파크는 우리에게 새로운 논쟁점을 펼칩니다.
that may only last for seconds, but that resonates
also in not-so-conscious portions of our minds and bodies, their matter.
단 수초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의식하고 있지 않던 몸과 마음에 울려 퍼집니다.
I have read Douglas Park's texts like the letter of
a promising new acquaintance
더글러스 파크의 텍스트는 제게 실험적 예술의 세계에서
in the field of experimental artistic practices.
장래가 밝은 새 친구가 보내는 편지처럼 다가왔습니다.
I want to send Douglas an answer,
더글러스 파크에게 답장을 보내고 싶습니다.
not knowing if my reading of his works is not a
failure.
제가 그의 작품을 읽는 것이 실례가 안되길 바랍니다.
When I was staying in Seoul for some months in
2009,
2009년 서울에서 몇 달 머무를 당시 저는
I brought a buzzing pile of difficult text with me,
planning to translate them into German.
독일어로 번역해야 할 복잡한 텍스트를 가지고 왔습니다.
They were texts by one of the few remaining
original proponents of Minimal Art, Robert Morris –
세상에 얼마 존재하지 않는 로버트 모리스가 직접 쓴 미니멀 아트에 대한 제안서였습니다.
who was and still is really much more than that.
그는 예나 지금이나 그보다 더한 존재이지만요.
Which is perhaps the reason why also Douglas Park
has referenced him extensively.
그래서 더글러스 파크가 로버트 모리스를 자주 언급했는지도 모릅니다.
I warmly recommend to re-read Morris's writings
today.
모리스의 글을 다시 읽길 권해드립니다.
I cannot begin to explain how meaningful I think
especially his poetological remarks
특히 그가 시적으로 표현한 현상론이 얼마나 제게 의미있는지는
on the "phenomenology of making" appear
to me.
설명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Here, as a kind of answer to the gift of Douglas
Park's voice,
더글러스 파크의 목소리에 대한 일종의 답으로
I only want to present you one small text that
Morris has written in1995.
저는 여러분께 모리스가 1995년에 쓴 글을 인용하겠습니다.
Morris has always doubled as an artist AND art
historian,
모리스는 작가 겸 미술학자였고
so in 1995, we find him writing an associatively paratactical text
1995년에는 그의 가장 잘 알려진 1967년 작 STEAM에 대해
on one of his most influential works from the 1960s,
STEAM (1967).
병렬적인 글을 씁니다.
”Steam" has served Morris as much as an
artwork, as a sculpture,
”Steam"은 모리스의 예술작품, 또는 조각과도 같았죠.
as it was a far-reaching metaphorical device
많은 의미를 담은 비유의 도구였습니다.
he re-interprets verbally in the lines I have
decided to read out in a recorded video performance piece called "Thinking
like a stone".
그는 제가 비디오 퍼포먼스 ‘Thinking
like a stone’에서 읽은 문장들을 재해석합니다.
The text he wrote is a fragmentary,
그가 쓴 글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but lively piece of applied cultural history trying
to spell out
문화사의 흥미로운 작품으로
what no-one would ever expect a "minimal"
artist to put into words.
‘미니멀한’ 작가가 담을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을 글로 남겼죠.
Disappointingly for many,
대단히 애석하게도,
minimal artworks were as much expected to
"speak for themselves"
미니멀한 작품은 설명 없이도 알아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
as the eruptions of any too-late "abstract
expressionist" working in your neighborhood.
마치 ‘시대를 잘못 타고난’ 동네 추상 현실주의 작가를 이해하는 것처럼 인식되곤 하죠.
My interest in Morris is translated here into the
rhetorical device of an artificial speech impediment.
저의 모리스에 관한 관심은 여기서 인위적인 언어장애의 형태로 표현되었습니다.
Like the antique philosopher and rhetor
Demosthenes, who was born a stutterer,
날 때부터 말더듬이였던 고대의 철학자와 웅변가 데모스테네스가
wanted to become the greatest orator of his time,
and thus tried to raise his voice against the crushing noise of the waves on
the beach near his village to exercise his abilities,
시대 제일의 연설자가 되기 위해 파도 소리에 맞대고 목소리를 훈련한 것처럼
I want to pick up some matter, something material -
before i speak.
저도 말을 하기 전에 물리적인 무언가를 가지고 시작하고 싶었습니다.
I worship the silence that sings like a bird,
나는 새처럼 노래하는 침묵을 찬양합니다.
I long for the Moon as it looks from the Earth.
지구에서 달이 이쪽을 보듯이 나도 달을 그리워합니다.
I need some material counterpart
나는 물리적인 짝이 필요해요.
because every body speaks lightly.
모두들 말이 가볍기 때문이죠.
Demosthenes, after practicing to outshout the
waves,
데모스테네스는 파도 소리를 이기기 위해 연습하고는
picked up pebbles from the beach and literally
"spoke through them".
돌을 집어 그것을 통해 말했습니다.
I leave you with some minutes of matter I have
gleaned from the ground as much as from Robert Morris.
그럼 이만 로버트 모리스와 제가 쌓아온 몇 분간의 물리적 물질을 남기겠습니다.
I want to thank Douglas Park for allowing me to see
this text in an entirely new way.
이 텍스트를 완전히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한 더글러스 파크에게 감사드립니다.
I'm not sure if this gets through to you, but I
thank you anyway.
이것이 당신에게 전해질지는 의문이지만 어쨌든 감사합니다.
STEAM
1995
The
epitome of the ephemeral.
임시적인 것의 발췌
A
refusal of “form” that does not, however, collapse into the sublime.
형태를 거부하나 숭고함으로 치우치지 않는
A
summation and cancellation of all the clouds ever represented in art.
예술사에서 표현된 모든 구름의 요약과 무효화
A
veritable Aufhebung of the cloud. (Yet perhaps a tinge of nostalgia for
Turner?)
진정한 구름의 파기 (터너에게는 약간의 향수를)
An
expenditure of heat: that which life itself mortgages from the sun.
생명이 태양으로부터 대출받은 열의 지출
A
coldly calculated sculpture formed with warmth.
냉정하게 계산된 조각상을 채우는 온기
A
monument both to Heraclitus (you can’t put your foot into the same steam twice
in this work) and Parmenides (we will not speak of the work’s “nothingness” in
the face of heat which is the “one” of every living thing).
헤라클라이터스 (이 작품에서는 같은 증기에 두 번 다시 발을 담글 수 없다)와 파르메나이데스 (모든 생명체의 일부인 작품의 ‘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의 기념물
Let’s
not forget Zeno whose arrow would never make it through this work.
이 작품을 절대 관통할 수 없는 제노의 화살도 잊지 맙시다.
Let’s
not forget the ancient sacred springs bubbling up in steamy, forgotten mists –
잊힌 증기가 가득히 올라오는 고대의 신성한 온천을 잊지 맙시다.
sites
now cemented over for shopping mall.
이제는 쇼핑몰을 위해 콘크리트가 깔린 자리들
Undoubtedly
the archaic is celebrated in this work.
의심의 여지 없이 이 작품은 고풍스러움을 찬양합니다.
Dig
deep enough beneath the very spot on which Steam is installed and what
would be found?
Steam이 설치된 곳 바로 그 자리를 파헤치면 무엇이 나올까?
Old
pottery, broken, once polished stones from forgotten settlements.
잊혀진 곳의 오래된 자기, 부서졌지만 한때는 반짝이던 돌들
And
what’s this? Montaigne’s lost collar button?
이건 뭐지? 몽테뉴가 잃어버린 옷깃 단추?
But
dig deeper still and see a broken oil lamp, a Roman bronze strigil.
약간 더 파헤치면 깨진 기름 전등이 있어, 로마 시대에 동으로 제작한 홈조각 장식
Go
deeper, beyond any human artifact and into the earth’s crust, and heat rises.
더 들어가면 인류의 유물을 지나 지구의 중심으로 가서, 열이 오른다.
Smoke
and the churning innards of the grumbling gut of the earth itself belches up
its indigestion in sulphurous clouds.
연기와 지구에서 나오는 트림이 소화불량 때문에 지옥 불 같은 구름으로 분화한다.
Dante
knew of the region.
단테는 이곳을 알고 있다.
But
let’s leave Christianity out of it.
일단 기독교는 내버려두지.
Hell,
as we might recall, requires no digging, having shaped the upper layers of the
earth for the last century.
지옥은, 기억해보자면 땅을 팔 필요도 없이 지난 세기 지구의 위 측 표면을 이루고 있었다.
Continuous
smoke and fire and the scream of wars large and small have deafened us to
Mnemosyne’s whispers.
지속적인 연기와 불, 크고 작은 전쟁으로 우리는 므네모시네의 속삭임에 무디어졌다.
But
steam is not smoke.
그러나 증기는 연기가 아니다.
James
Watt knew what to do with both when he stuffed them into his engine and
transfixed Turner, who put a rabbit in front of the industrialization bearing
down on it full tilt.
제임스 와트는 현명하게도 증기를 엔진에 구겨 넣었고 터너를 얼어붙게 했다.
그는 산업화가 기우는 곳에 토끼를 갖다놓았다.
Watt
we acknowledge with a deep bow.
와트여 그대에게 깊이 머리를 숙입니다.
But we
keep his machine out of sight in the next room.
하지만 그의 기계는 옆방에 놓아두는 거로
It is
unbearable to look at.
못 봐주겠다.
Watt
and Babbage and von Neumann do not require monuments but a moment of silence in
which we bow our heads and grit our teeth while their grinning visages
embroider the pipes and wires of our magnificent cages.
와트와 바바지, 본 뉴만에게는 우리가 묵념하며 머리를 숙이고 이를 갈고 그들의 미소 지은 얼굴이 우리의 굉장한 새장 파이프와 철을 장식하는 기념물은 필요하지 않다.
But
let us for a moment step off the track down which technology hurtles with its
relentless, terrifying momentum.
가차 없고 무서운 속도의 기술적 돌진에서 잠시 한 걸음 물러서자.
Turn
back once more to the archaic: the steam bath as purification.
고대를 다시 한 번 돌아보자: 정화로서의 증기 목욕
The
Native American ritual of sweating in a steam-filled enclosure before battle.
전투 전 증기로 가득한 곳에서 땀을 흘리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의식
Not
that I would dream of making claims for Steam along such lines.
물론 내가 Steam에 관해 평을 내릴 생각은 아니지만
I only
want to distinguish steam from smoke, eros from thanatos, energy
from entropy, warmth from third degree burns (“Distinguish there, Polonius,
that cloud that looks very like a camel from that other, that looks very like a
mushroom.”)
나는 단지 증기와 연기, 에로스와 타나토스, 에너지와 엔드로피, 온기와 3도 화상을 구분하고 싶을 뿐이다. (“이거 보게, 폴로니우스, 저 구름은 다른 것과 달리 낙타와 매우 유사하군, 저건 버섯 같고”)
Let’s
not forget the stones, thousands of them have, since the Cambrian, lain in
rivers submitting to water’s infinitesimal rate of sculpting.
캄브리아기부터 강의 흐름에 순종하며 극소의 다듬음을 거치며 깔린 수천 개의 돌들을 잊지 말게나.
Leonardo
marveled at the process.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이 과정에 흥분하곤 했다.
How
many miniature Brancusi ovoids have been dredged up here to occupy this
geometric plain through which Steam percolates?
Steam이 스며드는 기하학적인 계획을 차지하기 위해 미니어처의 브랑쿠시 타원이 건져 올려졌겠는가 ?
These
stones form the base of our monument of Steam.
이 돌들은 Steam의 기념물 기초가 된다.
But
perhaps Steam is after all an anti-monument.
하지만 어쩌면 결국Steam은 반 기념물일지도 모른다.
Perhaps
it is a kind of monumental anit monument to the shrinking cultural space of art
–
어쩌면 자꾸만 줄어드는 예술의 문화적 공간을 향한 아니트 기념물적인 기념물인지도 모른다-
a
space that tends to evaporate in the face of that lurch to the “right” that
would validate only the useful and deny the exhilarating excess of all
metaphor, the very site of art.
그렇게 쓸모있는 것만 인정하고 비유, 즉 예술 공간의 홍수를 부정하는 ‘옳은’ 것들에 의해 휘청하며 증발하는 공간
After
all Steam is just a lot of hot air; a towering babble of hissing,
wordless vapor;
결국, Steam은 그냥 허파에 바람이 찬 것이다; 쉿쉿거리는 무언의 증기;
a
physical-visual-thermal sigh;
물리적-시각적인-온기있는 한숨;
a
sweet, warm, mute breath wrung reluctantly from Watt’s engine of work.
와트 작품의 중요한 곳에서 마지못해 피어오르는 달고 따뜻한, 무언의 숨
A
damp, incoherent mumble of the delights of evanescence and multiplicity;
덧없음과 다양성의 환희의 축축하고 앞뒤가 안 맞는 중얼거림:
a
gaseous, upward rush celebrating the contradiction of an object made from thin
air –
얕은 공기에서 만들어진 것의 모순을 기리는 공기 같은 상향의 뿜어짐
an
object that upon being entered confers a white, enfolding blindness,
그곳에 들어서는 물체는 눈 부신 빛을 수여받고
the
damp frisson of a vaporous claustrophobia, and the kiss of warm stones against
the foot.
스며드는 듯한 밀실 공포증의 축축한 전율과 따뜻한 돌이 발에 닿으며 키스한다.
October 2013
Ilmin Museum of Art, Seoul
Translated by Yeojeong Chun 번역 전여정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