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A

포럼a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작가, 이론가/평론가, 큐레이터들이 편집진으로 활동하며 예술작품과 예술실천에 대한 일상적인 비평, 토론, 발언과 미술제도에 대한 대담하고 적절한 비판과 대안제시를 위해 만들어졌던 대안미술저널이었습니다. 풀은 포럼a를 이론과 활동모델에 있어서의 역사적 전신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풀의 사업 증가로 인한 홈페이지 컨텐츠의 증가와 도메인 유지 부담으로 인해, 안타깝지만 2013년 2월 자로 온라인 포럼a 도메인을 폐쇄합니다. 

“미술이 비미술로서는 사회와 유착하지만 미술로서는 사회와 격리되고 있다. 일상화된 비평은 미술문화의 토대이며, 그것만으로도 미술문화의 중요한 일부로 취급되어야 한다. 작품의 성패와 가치에 대해 직접 말하는 것을 성숙하지 못한 태도로 간주하는 이상한 태도가 미술문화를 지배하고 있다.

포럼A는 비평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또 일종의 ‘상위범주’로서 ‘구체성’을 든다. 또한 미술과 미술제도 비평에 있어서 포럼A는 크게 두 가지를 이해하고 있는데, 첫째는 미술제도에 관한 한 몰상식한 ‘미술 이전의 문제들’이 여전히 비판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미술에서 항상 중요한 것은 작업이라는 사실이다. 미술제도는 여전하고 제도비판도 여전히 새롭지 못하기 때문에, 비판의 권태로운 완고성 대신에 ‘제도의 생소화’가 강구되어야 한다. 문제의 핵심은 문화의 제도화를 저지하면서 제도를 문화화하는 것이다.”

(포럼A 창간준비호(1998.3.1)에서 발췌)


종이포럼A
발행인: 포럼A 편집위원회
판형: DIN B4 타블로이드 혹은 변형
언어: 한국어, 영어
후원: 한국문예진흥위원회

* ‘표제, 편집인, 저자(원고명), 발행일시, 언어, 페이지 수’ 순으로 표기.

- 포럼A (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창간준비호
편집인: 전용석, 편집위원: 강홍구, 박찬경, 백지숙, 황세준     
강성원, 강홍구, 김명혜, 최진욱, 양현미, 공성훈, 김지원, 전용석, 김인규, 정서영, 김보중, 최소연, 박진화, 이섭, 김태헌, 김영민(작가발언), 포럼A(한국 미술의 점진적 변혁-'포럼A'의 소개), 박찬경(제2회 광주 비엔날레 리뷰-'지구의 여백'의 지도그리기), 전용석(제2회 광주 비엔날레 리뷰-진정으로 창안적인 접속을 위한 모색), 백지숙(제2회 광주 비엔날레 리뷰-손으로'훔쳐보는' 이미지 세상-현대문학11월호(통권151호) 가운데 재수록), 1998.3.1, 한국어, 16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창간호    
편집인: 전용석, 편집위원: 강홍구, 공성훈, 박찬경, 백지숙, 황세준
강성원(한국미술-대중성, 그리고 명망성), 성완경, 박찬경, 이영욱, 박신의('창조적 개인, 공공의 윤리, 탐험의 지도'-성완경과의 대화), 김용익(노우트), 최진욱(회화는 정당한가), 공성훈(미술 관계자의 변명-나와의 인터뷰), 황세준(언타이틀드), 최석태(국립 현대미술관 비판), 1998.4.25, 한국어, 24쪽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2호         
발행인 및 편집인: 전용석, 편집위원: 강홍구, 공성훈, 박찬경, 백지숙, 황세준    

포럼A, 안규철(안규철 인터뷰), 박은하("쓰리 스타 쇼"-박모, 김범, 정서영), 배준성, 김범(김범과의 인터뷰), 황세준, 박모(박모와의 인터뷰), 이은주, 정서영(정서영과의 인터뷰), 김범, 박모, 정서영(이미지), 정성철(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 역사, 이론, 실천), 심광현(새로운'미술운동'은 필요한가?), 박찬경(개념미술, 민중미술, 행동주의를 이해하는 기본적인 관점-민주적 미술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포럼A(공간의 위기와 대안의 모색-동아갤러리 폐쇄와'彼是方生之展), 1998.7.30, 한국어, 24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3호        
발행인 및 편집인: 전용석, 편집위원 강홍구, 공성훈, 박찬경, 백지숙, 황세준     
백지숙(<이, 유쾌한씨를 보라> 주재환), 주재환, 공성훈, 류용문, 박진화, 배영환, 박은하(좌담"지지고 볶는 삶, 그 복판에서 작업하고 싶어요"), 황세준(주재환, 앙데팡당), 칼라도판, 주재환(이미지), 성완경(주재환의 現世間 미학과 산문정신), 포럼A(주재환 약력, 작품 목록), (동아갤러리 존속을 위한 문화예술인 연대서명 취지문), 1998.11.14, 한국어, 28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4호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5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세미나팀: 공성훈, 김학량)    
이동석(학예연구사 구보 氏의 하루), 양현미(국내 미술관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김지원,황혜선(이미지), Gloria Sutton,정명화 역(네트워크의 가치: 새로운 미디어와 미술관), 포럼A(대안의 모색-신설 대안공간들 서면 인터뷰), 정명화(세계화의 감옥), 1999.6.30, 한국어/영어, 24쪽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6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세미나팀: 공성훈, 김학량)
장영혜(삼성프로젝트), 배영환(타이루), 조경숙(무제), 강홍구(무제), 박소영(모호한 것에 대하여), 박용석(일기예보), 고승욱(미완의'X'), 박찬경(남조선일보 폭력점거 인질극 사건일지), 김인규(더블), 강용석(매향리 풍경), 김기수(스폰지를 쥐고 있는 손), 김태헌(롱다리와 숏다리의 남방행장기), 윤정미(ZOO), 김형석(아, 따분해), 전용석(무제), 이경석(북조선 밴드 전설 인민樂), 박은하(쏴아아), 배준성(명명하기(Naming)), 손기환(쏴아아아아아), 김옥선(주방 앞에 선 선영), 김소라(항중력제'디-그라비타이져'), 김주현(무제), 이주요(똑바로 서서 떨어지는 치마), 1999.8.14, 한국어, 24쪽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7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세미나팀: 공성훈, 김학량)    
이영욱(아방가르드/아방가르드/타방가르드), 윤정미, 전용석, 에두아르도 코스타(이미지), Peter Wollen/정성철 옮김(전지구적 개념주의와 북 아메리카 개념미술), Mari Carmen Ramirez/정성철 옮김(역경을 이겨내기 위한 전술들: 라틴 아메리카 개념주의, 1960~1980), 미술그룹'스마일' 1차 선성문, 박찬경 편집(리지아 클락), 전용석(인간을 떠나버린 예술), Fred Orton, Griselda Pollock/조주연 옮김(아방가르드와 파티잔 리뷰를 리뷰하기), 2000.2.28, 한국어, 28쪽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8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 황세준
이영욱, 장영혜, 백지숙, 이동석, 정서영, 이정우, 정혜승, 최진욱, 이정혜, 박찬경, 공성훈, 전용석(E-mail 좌담), 2000.12.26,  한국어, 24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프로젝트)  9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 황세준, 김장언      
Charles Esche/권자연 옮김(프로토 아카데미Proto Academies), 배영환(소수자 프로젝트1-노숙자 수첩, 홈리스 보고서2000), 이미경, (Mafi, the living performance industry), 양혜규(이미지), 정서영 편역(Fimger Newsletter), Martin Brandt/정서영 옮김(독일산Made in Germany), 양혜규(명사 대신 동사 이용하기-클레멘틴 델리스의'메트로눔' 프로젝트), Clémentine Deliss/박미나 옮김(차이를 보는 시선The Parallax View), 양혜규(클레멘틴 델리스와의 인터뷰), John Molyneux/정성철 옮김(현대 예술의 정당성), 박찬경('개념적 현실주의' 노트-'한 편집자'의 주), 2001.4.16, 한국어, 24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10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 황세준, 김장언
박찬경(비좁은 작업실, 텅 빈 미술관-마이클 아셔(Michael Asher)와 몇몇 국내외 작가들의 작업을 중심으로), 강수미(공공의 이름으로-국내 공공미술의 베스트와 워스트), 이동석(부산의 시간과 공간), 양혜규(지역미술 프로젝트와 미니멀 환경 사회적 조각-댄 피터맨(Dan Peterman)), 안재석(미완의 프로젝트, 가회동 전통 한옥지구 보존계획N-Village), 조지은,박용석,'텍스트파워'전에서,이상영(이미지), 김형석(상황주의 인터내셔널과 도시-표류/전용), 전용석(아나코 어바니즘(Anarcho-Urbanism)과 전용(Appropriation)의 정치), 2001.12.15, 한국어, 32쪽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11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박찬경, 전용석, 정서영, 황세준, 김장언      
정서영, 플라잉시티, 노재운, 조습, 최민화, 김기수, 홍영인(이미지), 고승욱, 고현주(글+사진, 이미지), 전용석(이데올로기의 심리지리-플라잉시티 프로젝트 중에서), 박은하(션 스나이더와의 이메일 문답), 믹스라이스 채널, 비브케 그뢰쉬(Wiebke Groesch), 프랑크 메츠거(Frank Metzger)(올림픽 프로젝트), 2003.11.25, 한국어, 24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12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고승욱, 박진아, 조습       
이슬기, 조지은, 송상희, 조습, 데비 한(이미지), Finger(About Finger), prim(The map's title is "Oil and gas working areas, 1974"), Mahatmanta(권력의 다양한 작용Various operations of power), 이재현(오월 잡감(雜感)), 양혜규와 김장언의 대담(예술과 사회 그리고 맥락들), 고승욱(습이를 살려내라), 2004.7.5, 한국어, 24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13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고승욱, 조습      
김상길, 노재운, 조습, 윤주경(이미지), 노형석, 백기영, 이병한 좌담(미술의 공공성, 떠도는 유령인가?), WHW/김재민 옮김(무엇을 어떻게 누구를 위하여), 최진욱(이제는 말할 수 있다?), 김학량, 반이정(채팅 대담), 김대중(쇼 머스트 고 온!-달배맨 이경석), 2004.12.29, 한국어, 32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14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고승욱, 조습      
이지영, 김세진, 박주연(이미지), 이동석, 박찬경, 황세준(학예연구사 구보씨에 대한 기억-故 이동석의 글과 그에 대한 지면작업), 김용익(한국에서 정치미술이 약한 것은 가족주의 때문이다!), 김인규(타임머신), 2005.4.15, 한국어, 20쪽

- 포럼A(부제: 토론∙비평∙발언∙작가∙이미지) 15호       
발행인: 이영욱, 편집위원: 고승욱, 조습
포럼A(한국 동시대 문화/미술의 현황과 과제-더욱 젊게, 하지만, 늙어도 좋아), 김갑수, 박명학, 백기영, 이동연, 이재현(미술제도에 관한 현안들-문화예술정책에 대한 설문), 김정란(한국기독교의 문제), 김남기, 스마일, 노재운, 고승욱(이미지), Paola Yacoub Michel Lasserre(오염된 장소Contaminated grounds), 현시연(또 다른 구보氏의 하루), 포럼A(새 시대의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2005.7.10, 한국어, 28쪽

http://www.altpool.org/_v3/board/view.asp?pageNo=1&b_type=11&board_id=84&time_type=&year=

포럼 a 홈페이지 이미지 ⓒ 포럼 a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