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 플럭서스: 백남준 10주기 추모전

서울시립미술관은 백남준 타계 10주기를 맞아 백남준의 예술세계와 그의 예술적 동지인 플럭서스를 함께 조명하는 <백남준 ∞ 플럭서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1960년대 등장한 플럭서스와 백남준의 관계를 통해 아방가르드 정신에서 싹튼 비디오 아트의 시작을 살펴보고자 마련되었다. 독일 쿤스트할레 브레멘과 국내 기업 및 개인 소장가들의 소장품 200여 점으로 구성된 본 전시는 백남준, 조지 마키우나스, 요셉 보이스, 오노 요코 등 19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플럭서스 일원으로 활동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비롯하여 백남준이 전성기 시절 제작한 대형 멀티 모니터 설치작품들을 한 자리에 선보인다. 

전시의 제목 <백남준∞플럭서스>는 백남준이 다음 세대와 미술계에 끼친 무한한 영향력과 순환적인 연결고리를 함의하고 있다. 전시는 <플럭서스는 ∞>, <참여갤러리>, <크라잉 스페이스>, <백남준은 ∞> 총 4개의 섹션 구성을 통해 시작과 끝이 정해지지 않은 자유로운 관람을 제안한다. 

<플럭서스는 ∞>는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1931-1978)가 플럭서스를 조직한 이래, 그 일원이었던 백남준의 아방가르드 예술정신과 위대한 아티스트의 탄생을 예고한 시기를 조명한다. 본 공간에서는 존 케이지, 요셉 보이스, 오노 요코, 조지 마키우나스 등 플럭서스 멤버로 활동했던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들과 순수한 우정에 기반한 파격적인 아방가르드 예술 활동을 펼치는 청년 백남준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참여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독일 브레멘 쿤스트할레 소장품 <세 대의 카메라 참여>는 CCTV에 찍힌 자신의 모습을 컬러 코드로 볼 수 있는 작품으로 관람객이 직접 작품 안으로 참여하여 주체가 된다. 뿐만 아니라 참여 갤러리 공간에서는 작가 양아치가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1969-1971) 작품 제작 원리에 대한 연구와 재해석한 새로운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선보인다. 살아생전 새로운 지식과 기술들을 결합하고 연구자와 기술자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며 비디오 아트와 퍼포먼스를 접목시켰던 백남준의 정신을 계승한 새로운 형태의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관람객들의 참여로 완성된다. 

플럭서스 초기 멤버인 덴마크 출신 에릭 앤더슨은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한 <크라잉 스페이스>를 만들어 관람객들에게 개인적인 추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동료를 추모하는 전시에 초대된 작가는 관람객들이 전시장에 들어서는 순간 눈을 향해 불어오는 강풍과 눈이 시릴 정도의 과잉된 색채에 압도되어 억지로 눈물샘을 자극함으로써 ‘추모’의 의미를 전복시키고 진정한 눈물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백남준은 ∞> 공간은 1990년대 전성기를 누린 백남준의 멀티 모니터 설치 작품과 비디오 조각을 한 자리에 선보이는 공간이다. ‘예술가의 역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라고 얘기했던 그는 자신의 시대를 넘어 다음 세기를 예견했다. 이번에 소개되는 (1994)나 <암페어>(1992)등의 작품은 본격적인 전자 시대로의 도입을 암시했던 전자무당 백남준의 면모를 보여준다. 또한 백남준의 유가족이 소장한 <시집 온 부처>(1989-1992)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예술의 위계에 반대하고 독자적 활동을 펼친 플럭서스 시절의 청년 백남준부터 전성기 백남준까지를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곁을 떠난 지 10년이 지났어도 여전히 새롭고 무한한 백남준의 미학적 가치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Commemorating the 10th anniversary of Nam June Paik's death, Seoul Museum of Art holds an exhibition, Nam June Paik ∞ Fluxus that features the art of Nam June Paik, as well as his colleagues in Fluxus. This exhibition introduces the spirit of the avant-garde and the beginning of video ar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m June Paik and Fluxus, which emerged in the 1960s. I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Nam Jun Paik, whose art practice stemmed from his Fluxus activit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exhibition is comprised of about 200 works from the German Kunsthalle Bremen, domestic Korean corporations and private collectors. The exhibition also presents works of Fluxus artists from the 1960s to 1990s including Nam June Paik, George Maciunas, Joseph Beuys, Yoko Ono, as well as large multi-monitor installation pieces by Nam June Paik during his heyday. 

● The title of the exhibition, Nam June Paik ∞ Fluxus implies both Paik's immense influence on the art world and the artists of the following generation, and their circulative linkage. Additionally, the four sessions, Fluxus is ∞, Participation Gallery, Crying Space, Nam June Paik is ∞ suggest that the audience freely view the exhibition without any determinant start and end points. ● Fluxus is ∞ focuses on the period when Paik was an active Fluxus member (since George Maciunas organized the Fluxus movement in 1962). This was the time when the emergence of the great artist, Paik and his avant-garde spirit was predicted. This session features various works by John Cage, Joseph Beuys, Ono Yoko, George Maciunas and their artistic activities that denied hierarchies through their sincere friendship. These were significant activities that allowed an exchange of unlimited support and influence with Nam June Paik. Here, viewers can find a young artist, Nam June Paik throughout the gallery. 
● In Participation Gallery, a piece titled Three Camera Participation from the collection of Kunsthalle Bremen, allows the audience to see themselves color-coded and captured by CCTV. Like the title, the audience is directly invited into the piece, becoming the subject. Furthermore, the artist, Yangachi presents his new video synthesizer, which i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Paik/Abe Video Synthesizer (1969-1971) an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work that includes its mechanisms. The audience can take part in this new form of video synthesizer which inherits the soul of Nam June Paik, who brought together new knowledge and technologies, as well as combining video art and performance by actively collaborating with researchers and technicians. 
● Crying Space by Eric Andersen, an earlier Fluxus member, provides the audience a space for personal commemoration. The artist was invited to present a piece in the exhibition, which aims to show the Fluxus influence on today's art, and to commemorate his peer. As the audience enters the space, they encounter the strong wind of a fan that blows towards their eyes. They end up literally shedding tears as they are overwhelmed by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iece questions the meaning of 'real' tears, and subverts the implication of 'commemoration.' 
● Finally, Nam June Paik is ∞ brings together Paik's multi-monitor installations made during his prime in the 90s and other collections from inside and outside of Korea. Asserting the 'duty of an artist is to think about the future,' Paik transcended his own generation and predicted the next century. Some pieces included in the exhibition, such as W3(1994) and Ampere(1992) show Paik's other side as electric-shaman, as he anticipated the ushering in of the new electronic era. Also, thanks to Paik's family his unpublished work, Buddha's Come Back Marriage will b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 This exhibition i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wide range of Nam June Paik's art. The works span from his youth (when he worked independently and confronted the hierarchy of art as a part of Fluxus), to his heyday (when he kindled his undiminishing enthusiasm toward art). In Nam June Paik ∞ Fluxus, the audience will be able to enjoy the discovery Paik's aesthetics. One that is still very novel and full of infinite possibilities, even though ten years have past since his death. 

http://sema.seoul.go.kr/korean/exhibition/exhibitionView03.jsp?seq=487&iPage=1&iListCont=10&sSrchType=x&sSrchValuEx=&iTcnt=0&iPageCont=10&iCurrPage=1&pDateGubun=ING&pTypeGubunAll=&sStartDate=&sEndDate=


Soungui Kim, 1983
Bonjour Paik Name June II, Performance with Paik Name June, Pari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