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란스러운, 뜨거운, 넘치는 / Uproarious, Heated, Inundated

시민과 함께하는 광복70년 위대한 흐름 
“소란스러운, 뜨거운, 넘치는”
Uproarious, Heated, Inundated
Commemorative Exhibit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The Great Journey with the Citizens
2015. 7. 28- 10. 15

올해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70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세계 곳곳에서 열리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광복 70년이 되는 해라는 점에서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번 전시는 1945년 8월 15일 꿈과 같이 찾아온 ‘광복(光復)’, 글자 그대로 일제 강점의 암흑에서 벗어나 ‘빛을 되찾은’ 지 70년이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러나 광복을 이미 완결된 역사적 사건이 아닌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행 중인 사건으로 간주한다. 광복과 함께 시작된 남북 분단의 상처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다른 어떤 이념이나 가치에 앞서는 실존적인 삶의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시는 우리 부모와 조부모 세대가 겪은 한국전쟁, 산업화, 민주화 등 역사적 사건 혹은 현상을 다루지만, 시각예술을 통해 한국현대사를 연대기적으로 보여주려는 데 목적을 두지 않는다. 오히려 다양하고 불안정한 동시대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우리에게 일제강점의 비극, 한국전쟁의 부조리, 급격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생긴 희망과 좌절, 민주화에 대한 뜨거운 열정은 이미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진행 중인 현재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시 제목 “소란스러운, 뜨거운, 넘치는”은 전시 구성상 셋으로 전개되는 각 시대의 특징을 반영하는 동시에, 수식 받는 명사 없이 명사 수식형 세 개만 불안하게 열거됨으로써 하나의 단어로 규정할 수 없는 불안정한 동시대의 삶 자체를 나타낸다.

전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부는 전쟁으로 인해 분단된 조국, 떠나온 고향과 헤어진 가족을 그리워하는 전후의 삶을 다룬다. 
2부는 1960년대~80년대 단기간에 이루어진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부정된 근대성을 극복하려는 민주화를 주제로 한다. 
마지막으로 3부는 세계화된 동시대의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삶을 보여준다. 
전시공간(최정화 디자인)은 어두운 색에서 점차 밝고 화려한 색으로, 벽은 철망, 합판, 알루미늄, 비닐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각 시대의 분위기와 감각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과거의 사건들이 현재까지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1부와 2부를 이루는 내용들은 완결된 과거가 아니라 동시대의 면면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과거를 되돌아보는 일은 단순히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과거를 그대로 소환하거나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상이한 복수의 기억이 현재의 시점에서 재구성되는 ‘기억의 장’을 구축하는 것이기도 하다. 전시는 이 점을 끊임없이 상기시킨다. 각 섹션에서 관람객은 당대를 직접 경험한 작가들과 기록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한 젊은 작가들이 섞어 내는 다층의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특히 2부에서는 시대를 풍미했던 가요와 사운드가 더해져(성기완(가수, 시인) 작업), 관람객은 단순히 과거를 향수하는 데 머물지 않고 기억의 조각들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전시를 관람할 수 있을 것이다.

The year 2015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hile there are many celebrations around the world commemorating this special point in time, this year is even more significant in Korea as it also honors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n Independence. Uproarious, Heated, Inundated was organized to celeb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Gwangbok (光復): reclaimed light) of Korea on August 15th, 1945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exhibition, however, does not regard the liberation of Korea as a concluded historical incident but as an ongoing event which still continues on today 70 years later. This is because the nation’s division into North and South still affects the very core of our everyday life, preceding any other ideologies or values. While the exhibition focuses on historical events of a generation or two before our time in the present such as the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intention isn’t to just chronologically outline Korean modern history through art. Rather, the exhibition hopes to discuss the diversified and unsettled life in the contemporary times. The tragedy of Japanese occupation, absurdities of the Korean War, hope and despair of rapid economic growth, and passionate hunger for democratization are not the issues of a bygone past but are on-going issues that still resonate with us today.

In this context, the exhibition title Uproarious, Heated, Inundate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presented in three sections, while this title -consisted of three adjectives enumerated unstably without any noun that is being modified- symbolizes the uncertain life of contemporary times that cannot be defined with a single word.

The exhibi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ections. Section 1 focuses on the postwar life of people whose country has been torn apart, and their longing for their home and family. Section 2 sheds light on the period from the 1960s to 1980s, the growth spurt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well as democratization which attempted to overcome the reactionary modernization. Lastly, Section 3 captures the kaleidoscopic life of globalization in the present.

The exhibition space (designed by the artist Choi Jeong-hwa) starts off with dark colors in section 1 then gradually lightens up in color and mood in sections 2 and 3. The walls capture the aura of each period through the use of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wire mesh, plywood, aluminum and vinyl. The exhibition perpetually reminds the viewer that the contents in sections 1 and 2 are not of a finalized past but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ntemporary period. It also suggests that reflecting on the past doesn’t mean just recalling and restoring the no-longer existing past as it is, but constructing a ‘site of memory’ where multiple, diverse, and different memories are reconstituted in the present. Each section is filled with multiple voices of the artists, both those who actually experienced the period and those who indirectly experienced the age through records and documentations. Of particular note, section 2 offers an special experience of the period through popular music and sounds (arranged by singer and poet Sung Ki-wan) from the time which would allow the audience to not only feel nostalgia of the past, but also reconstitute the fragmented pieces of memory both aurally and visually.
http://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do?menuId=1020000000&exhId=201507020000279
July 2015
Seoul
    
    



photos via: http://www.daljin.com/column/12862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86722748021901&set=pcb.1086722764688566&type=1&theaterhttp://dogstylist.com/
 & instagram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