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 ( ) at face value 액면가로( ) 받아들이기



Nominalism
Korea is often described as a 'fast-growing economy', a booming country; K-pop as expanding globally, and Korean IT industry being most advanced. The aspect of exponential growth permeates Korean society, and 'haste' has become a continuum and dynamism is the pre-dominant characteristic. But is there a non-dynamic society.
Take ( ) at Face value focuses on “average”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
The artists work on quite average subjects with an attitude, which does not know an average. 
They tend only one thing or one field of experience and this ceaselessly.
Something average is treated superficially without being superficial. The all too visible is treated in an overly evident way and yet paradoxically works are produced which are all contrary, stubborn, resisting trends and of extra-ordinary stamina.
'Nominalism' is a term of universal perception. In a nominal world universality is not just an abstraction, which describes a phenomenon, but in fact the nomina behind it. The presented artworks unscramble the abstraction of this perception unraveling something individual in this universality. The participating artists express themselves through a thematic needle hole and stay on their chosen track arguing individual experience rather than any number of grand ideas. They dissolve things in their own universality.

오늘날의 한국은 ‘급’-성장한 국가라는 말로 흔히 회자한다. 경제적 급성장속에서 IT산업은 물론 대중문화의 세계적 확산에 이르기까지, 대외적 인지도 역시 ‘급’-부상했다. 이러한 대외적 급성장의 면모는 한국사회에도 깊이 스며들어, ‘빨리 빨리’라는 표현이 한국사회의 일상을 대변한다. ‘유명론’은 이러한 보편화한 인식에 대한 의문을 역설적으로 제기한다. 보편적인 것은 개별적인 현상이나 사물 그 자체를 규정하는 듯하지만 결국 그 배후에 붙여진 하나의 이름(nomina)에 불과한, 일종의 추상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유명론(nominalism)의 철학적 사유가 이러한 질문을 뒷받침한다. 이런 질문은 그런 보편화한 인식 혹은 개념들의 추상성을 비판적으로 해체하는 작품들을 통해 제기되고, 그런 보편성속에 은폐된 현상들이 지닌 구체성과 개별성의 실재를 드러낸다.
본 전시의 작가들은 한국의 민족성, 정신성, 혹은 정치, 사회 등 한국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관념, 혹은 선입견들에서 벗어나 있다. 하나의 관점에서 비롯된 보편성을 주제로 다루지만, 보편적인 관념이 아닌 개별적인 경험에 근거해 이러한 주제들에 집요하게 천착한다. 즉, 보편적인 것을 보편성을 벗어난 관점으로 다루어 그 보편성을 해체한다. 완강한 저항의식과 대중적인 트랜드의 조합 속에서 매우 보편화한 관념, 즉 액면가 그대로 드러나는 개념들이 지닌 지루함에 맞서는 이들의 작품은 한국적 사회현상을 넘어서 세계화한 세계 속의 우리의 일상을 관통한다. 보편성을 일상경험으로 해체하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층위를 지닌 작품들은 보편화한 인식과 관념들에 은폐된 보다 구체적인 삶의 다양한 층위를 제시한다.
Curated by Kim Kim Gallery 
 Exhibition:  
Kim Beom 김범
Minja  Gu 구민자
Ingo Baumgarten 잉고 바움가르텐
Sasa[44], Sulki and Min 슬기와 
Oan Kim 김오안
Joo Jae Hwan 주재환
Nayoungim& Gregory Maass 김나영 그레고리 마스
Choonman Jo 조춘만
Min Oh 오민 
Korean cultural center Australia Gallery, Sydney
2019. 6. 28 – 9. 27

ㅇ Performances:
Minja  Gu 구민자
West Space, Melbourne
2019. 6. 22
Korean cultural center Australia Gallery, Sydney
2019. 6. 28
4A Centre for Contemporary Asian Art, Sydney
2019. 6. 29

Byungjun Kwon 권병준
4A Centre for Contemporary Asian Art, Sydney
2019. 6. 26



Leaflet & postcard designed by Jayme Yen
June 2019

Take ( ) at face value is presented in partnership with the Korean Cultural Centre Australia and the Kim Kim Gallery,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ith support from the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KOFICE) as part of the Traveling Korean Arts Project.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