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 2008

 

캔버스에 유화 물감, 
129×161cm
  • 2014년 광주비엔날레 20주년 특별 프로젝트에 출품되었던 이 작품은 주재환의 유화 작업이 고유한 특징인 창백하고 음울한 청색의 바탕 위에 자유를 상징하는 고래의 형태와 억압적인 인간 문명을 상징인 신호등이 묘사된 작품이다. 창백한 회청색 빛을 발하는 거대한 보름달을 배경으로 하늘을 부유하는 듯 한 고래의 몸통은 찢겨져 나가고, 이 찢겨진 살점들은 빨강, 파랑, 노랑의 기하학적인 신호등의 형태로 변환되고 있다. 작가는 자유와 억압, 자연과 문명의 극명한 대비를 초현실적인 분위기의 회화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잡다한 재활용 오브제를 활용하여 세상에 대해 발언하는 주재환의 콜라주 작업이 좀 더 직접적이며, 즉각적인 방식으로 냉소와 비판의 시각을 드러내는 반면관객, 캔버스에 유화로 그려진 회화는 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삭혀진 진지하고, 깊은 성찰의 시선이 눅진하게 녹아있다.
    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Page.do?menuId=0000000000&wrkinfoSeqno=8750&artistnm=%EC%A3%BC%EC%9E%AC%ED%99%98

40th EVA International

31 August – 29 October 2023

across venues in Limerick city.

Guest Programme: The Gleaners Society
Curated by Sebastian Cichocki, the Guest Programme of the 40th EVA International took its thematic basis on the idea and practice of gleaning – a term that traditionally refers to the act of collecting leftover crops following a harvest. The Gleaners Society extended this reference in a multiple of ways, alternately serving as an artistic subject, a political metaphor, and a curatorial methodology to explore and propose art’s relationship to society. Featuring over 45 presentations by Irish and international artists and collectives, The Gleaners Society unfolded across a set of uniquely diverse venues in Limerick city (civic arts institutions, a primary school, a Cathedral, and a vegetarian cafe, among others).

Artists and collectives included: Kateryna Aliinyk, Orla Barry, Robert Barry, Kian Benson Bailes, bela, Kasper Bosmans, Eglė Budvytytė, John Carson, Jeamin Cha, Bryony Dunne, Clodagh Emoe, Rachel Fallon & Alice Maher, Rosalind Fowler, Freefilmers (presented by Asia Tsisar),  Léann Herlihy,  ikkibawiKrrr,  Tamás Kaszás,  Navine G. Dossos,  Eustachy Kossakowski, Kim Beom, Li Mu,  Sharon Lockhart,  Goshka Macuga, Jumana Manna,  Gordon Matta-Clark,  Óscar Mascareñas, Olga Micińska with Mathild Clerc-Verhoeven, Janet Mullarney, Teresa Murak, My-Musical Collective and Pidsoma Shelter, Peter Nadin & Natsuko Uchino & Aimée Toledano, Antonina Nowacka, OHO, Rory Pilgrim, Sana Shahmuradova Tanska, Diane Severin Nguyen, Jessica Sarah Rinland, Joydeb Roaja, Slavs and Tatars, Åsa Sonjasdotter in collaboration with Mercè Torres Ràfols and NCAD FIELD, Seoidín  O’Sullivan, Iza Tarasewicz, Thomond Primary School Gardening Club in collaboration with Deirdre O’Mahony and Hometree, Dominika Trapp, Natsuko Uchino, and Lala Merdith-Vula.


Kim Beom

A Rock that Learned the Poetry of Jung Jiyong, 2010
A Rock That Was Taught It Was a Bird, 2010

Two films that documented lessons given to inanimate objects. In A Rock that Learned the Poetry of Jung Jiyong, a number of instructors took turns to explain to a rock the poetry of Jung Jiyong, a Korean modernist poet. In the second film, avian behaviours, such as flying and perching on a tree branch, were explained to a chunk of granite.

Kim Boem is a conceptual artist and poet who lives in Seoul (KR). Kim has presented work at public arts institutions and galleries including Gallery Baton, Seoul (KR), Kunsthal Aarhus, Aarhus (DE) and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US).

https://www.eva.ie/artist/kim-beom/?yr=2023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의 우연한 만남 <파라노이아 파라다이스: Paranoia Paradise>

글자작게글자크게인쇄목록으로

연말에 소중한 사람과 함께 이런 전시·공연 어때요.

아뜰리에 에르메스는 올해 마지막 전시로 듀오 아티스트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Gregory Maass)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한국과 독일 출신의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는 프랑스에서 만나 2004년부터 공동 작업을 이어 온 듀오 아티스트로, 지난 20년간 국내외 전시 활동을 통해 예술의 다양성과 자유로움에 대한 인식을 확장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60점에 달하는 신작을 통해 그들 만의 비범한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이들이 다루는 사물과 이미지는 미술사에서부터 키치나 대중문화의 산물, 의식주와 관련한 일상용품과 남녀노소의 여가 물품에 이르기까지 한계가 없다. 
피카소나 헨리 무어의 변형된 작품과 함께 자수로 표현한 미니 마우스, 영어로 쓴 붓글씨 병풍, 코딱지 드로잉까지 풍자와 유머의 감각을 공유하지만 결코 하나의 의미로는 규정되지 않는 작품은 세상에 존재하는 문화적 전형성을 지닌 사물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현실 감각을 일깨우는 새로운 예술적 삶의 경험을 선사한다.

기간 2024년 11월 22일~2025년 2월 2일
주소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45길 7, 메종 에르메스 도산 파크 B1F 아뜰리에 에르메스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411204587c&category=AA008&sns=y

점으로 잇는 예술 담화

 






Dec. 2024
Photo by 장형석


금속의 항해_배수관으로 이루어진 도시 Voyage of Metal

이영준 개인전

룩인사이드 갤러리

2024. 12. 21 - 2025. 1. 13

작가와의 대화; 12월30일 3시



Jitish Kallat: Tangled Hierarchy

 June 2–September 10, 2022

John Hansard Gallery

Southampton, UK

Curated by Jitish Kallat

Including contributions by: Kader Attia, Kim Beom, Henri Cartier-Bresson, Mahatma Gandhi, Mona Hatoum, Partition Museum, Sir Roger Penrose, Paul Pfeiffer, Vilayanur Ramachandran, Mykola Ridnyi, Roger Shepard, Homai Vyarawalla, Alexa Wright, Zarina

John Hansard Gallery, part of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is pleased to present Tangled Hierarchy, an exhibition that centres on a collection of five humble yet remarkable used envelopes. Each envelope is addressed to Mahatma Gandhi and all are now carefully conserved within the Mountbatten Archive at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On Monday, June 2, 1947, Lord Louis Mountbatten (the newly appointed Viceroy of India) met with Mahatma Gandhi to discuss the imminent partition of the Indian subcontinent, a proposition strongly opposed by Gandhi. As a consequence of Gandhi undertaking a vow of silence on Mondays, he communicated with Mountbatten by writing notes on the backs of used envelopes, which are now the only surviving record of their exchange. Tangled Hierarchy opens on June 2, 2022, marking 75 years to the day since this momentous meeting.

The artist, Jitish Kallat, was invited by John Hansard Gallery to curate an exhibition that considers the Mountbatten Archive and the “Gandhi envelopes” as a reference point for a series of artistic conversations and correspondences. Combining archival and scientific artefacts, alongside works by contemporary artists, Tangled Hierarchy explores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silence and speech, visibility and invisibility, partitioned land, bodies, and phantom pain. Themes of maps, borders, recurring cycles and unsettling displacement are woven throughout the exhibition.

Jitish Kallat: Covering Letter, 2012

Alongside Tangled Hierarchy, John Hansard Gallery is proud to present the first UK showing of Jitish Kallat’s immersive installation Covering Letter.

Taking the form of words projected onto a curtain of cascading fog, the piece presents a historical letter by Mahatma Gandhi to Adolf Hitler, written just weeks before the start of World War II. In the spirit of his principle of universal friendship, Gandhi begins the letter with the greeting “Dear friend.” Mist diffuses Gandhi’s projected words, echoing the fate of his message, which went unheeded. Kallat describes this correspondence as a plea from a great advocate of peace to one of the most violent individuals who ever lived. It is equally an open invitation for self-reflection, as its scrolling words speak to the extreme violence in the world today.

Kallat’s work often represents history through the actions and words of historical figures. Kallat has described the correspondence within Covering Letter as a plea from a great advocate of peace to one of the most violent individuals who ever lived. Shown in close proximity to Mykola Ridnyi’s Seacoast, Mahatma Gandhi’s plea for peace resonates across history to address Vladimir Putin and the current war in Ukraine.

In both Tangled Hierarchy and Covering Letter, Kallat revisits potent historical documents, draw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ies of peace and tolerance in a world plagued by violence, control, and surveillance. Themes of violence, displacement, trauma and rupture are echoed throughout Tangled Hierarchy and Covering Letter demonstrating the cyclical nature of human history and how calls for peace repeatedly go unheeded.

Jitish Kallat was born in 1974 in Mumbai, India, where he continues to live and work. His solo exhibitions includ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Dr. Bhau Daji Lad Mumbai City Museum (Mumbai), the Ian Potter Museum of Art (Melbourne), Frist Art Museum (Nashville),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Sydney) and the Philadelphia Museum of Art (Philadelphia). In 2017, the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New Delhi) presented a mid-career survey of his work titled Here After Here 1992–2017, curated by Catherine David. Kallat was the curator and artistic director of Whorled Explorations, Kochi-Muziris Biennale 2014 and he curated I draw, therefore I think for the SouthSouth Platform in 2021.

John Hansard Gallery and Jitish Kallat would like to extend particular thanks to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at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Library, Professor Sunil Manghani at Winchester School of Art, and Partition Museum, Amritsar for their invaluable help in making this exhibition possible.

초조한 도시, 두 번째 CITIES IN DISTRESS, VOLUME 2

  • 이영준 지음
125 × 210밀리미터 / 324쪽 / 사철 소프트커버 / 2024년 12월 21일 / ISBN 979-11-94232-09-4 03300
  • 박활성 편집
  • ,
  • 김형진 디자인.  workroom press


『초조한 도시, 두 번째』는 기계비평가 이영준이 개발과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을 반복하며 재난에 맞먹는 규모와 속도로 변하는 도시와 그 주변 모습을 13년의 시차를 두고 담아낸 스냅숏이다. 나날이 커지고 나날이 높아지는, 모든 것이 아파트로 귀결되는 도시의 밀도가 가하는 압력에 맞서 도시를 살아갈 만한 곳으로 바꾸기 위해 저자가 선택한 기록의 방식이자 결과물이다.

초조한 도시를 괄호에 넣다

한국의 도시는 상상을 뛰어넘는 충격의 장소다. 오늘 멀쩡하던 건물이 내일이면 철거되고, 내일 세워졌던 건물은 몇 달 후면 바로 옆에 세워진 더 높은 건물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도시의 밀도는 더 이상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시간의 문제다. 얼마나 많이 바뀌냐가 아닌, 얼마나 빨리 바뀌는지가 문제인 것이다. 도시의 빠른 유속은 그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을 초조하게 만든다. 그렇다고 사람들이 매일 괴로워하며 도시를 살아가지는 않는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 방식으로 도시의 초조함을 소화하며 살아간다. 자기가 보기 싫고 듣기 싫은 것은 괄호에 넣어버린다. 저자에게는 카메라가 바로 도시의 초조함을 괄호 안에 넣는 방식이다. 즉, 그의 목적은 도시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내는 것이 아니고, 도시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기록하려는 것도 아닌, 도시를 살아내기 위함이다.

일단 카메라에 담긴 도시는 무해한 것으로 바뀐다. 현실에서 압력을 가했던 도시의 밀도는 안전한 거리를 두고 바라보고, 읽어낼 수 있는 대상이 된다. 그렇다고 도시를 읽어내기가 쉬워지는 것은 아니다. 책이나 영화 같은 일반적인 ‘읽기’의 대상과 달리 도시에는 무엇을 읽어야 하는지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0년 출간된 전작 『초조한 도시』와 비교할 때, 이번에 출간된 후속판은 도시를 읽어내기가 한결 수월해졌다. 저자가 말하는 밀도와 고도, 무엇보다 속도가 즉각 눈에 띄기 때문이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거의 같은 자리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찍은 몇몇 사진들은 저자가 한국의 도시 경관을 한마디로 압축한 “기승전아파트”라는 표현을 실감하게 한다. 고도의 측면에서는 2016년 완공된 롯데타워(높이 555미터)가 상징적이다. 인간이 만든 가장 높은 건축물의 높이(부르즈 할리파 828미터)가 이미 서울에서 가장 높은 산인 북한산(높이 836미터)에 근접한 현재, 서울의 스카이라인은 자연경관이 아닌 인공물이 차지한 지 오래다.

결국 이 책에 실린, ‘빛 충동’에 빠진 한 비평가가 지난 20여 년간 찍은 사진들은 의도치 않게 역사성을 띤다. 그 역사는 심도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하거나, 정교한 담론이 뒷받침해야 하는 것이 아닌,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로서의 역사다. 괄호 안에 얌전히 보관하는 대신, 다시 괄호 밖으로 꺼내 함께 살아가야 하는 현실이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는 폐허 위에서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비참한 기분으로 살지는 않는다. 우리는 도시를 소비하기도 하지만 생산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폐허는 계속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난다. 꼭 거창한 건축물이나 토목 구조물을 세워야 도시가 다시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을 살면서 도시의 구석구석에 써서 채워 가는 작은 의미—추억, 흔적, 행위, 정보—들을 통해 도시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차례

후속판 서문
초판 서문

1장 기호의 제국
사물이라는 기호
아인스월드라는 세계
글씨의 제국
삭막미
X의 세계

2장 밀도와 고도
밀도의 사물들
도시 경관이 된 북한산
롯데타워 지우기
벚꽃의 추억
살풍경
시간의 도시
해양도시의 아이러니

3장 콘크리트에도 격이 있다
콘크리트, 신전이 되다
크리트, 자연이 되다
콘크리트, 전쟁이 되다
콘크리트, 빛이 되다

에필로그

발췌

나는 한국의 도시 기호들을 사진 찍음으로써 거리를 둔다. 수잔 손탁이 ‘참여하는 사람은 기록하지 않고, 기록하는 사람은 참여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나는 사진 찍음으로써 도시의 기호 세계에 참여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것들에 대해 안전한 거리를 두고 그 혼잡의 힘을 즐긴다. 카메라의 망원렌즈는 나에게 기호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는 물리적이고 시각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아주 멀리서 기호들이 중첩돼 있는 모습을 보면서 나는 생전 처음 한국의 도시에 와 본 사람처럼 놀란다. 그리고 놀라움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듯이 카메라의 셔터를 누른다. (27쪽)

도시에서 마주치는 기호들의 의미가 다 해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것은 원래부터 난해해서, 어떤 것은 빛이 묘해서, 어떤 것은 평소에 보지 않던 관점에서 봐서, 어떤 것은 그저 그 순간이 묘해서 해독의 그물을 빠져나간다. 매일 지나다니며 보던 같은 전봇대도 기분에 따라 외계인이 타고 온 우주선으로 보일 수도 있다. 사람들은 어떤 기호가 해독이 안 되면 당혹해한다. 하지만 바로 그때가 소중한 순간이다. 목적과 기능에 묶여 있던 사물들이 족쇄를 풀어 버리고 자기 얘기를 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요즘 신유물론이라는 철학이 대유행인데, 엄청난 얘기를 하는 것 같지만 사실 간단하다. 사물의 얘기를 듣자는 것 아닌가. (95쪽)

‘초조한 도시’는 망원렌즈의 눈으로 도시를 재구성해서 본다. 그것은 수사법으로 치면 과장법인데, ‘빌딩들이 많다’고 말하는 식이 아니라, ‘빌딩들이 진짜로 너무 많아서 숨이 콱 막혀 죽을 것만 같다’고 말하는 식이다. 그런데 이 세상은 항상 객관적인 중립으로 되어 있지 않고, 언제나 어느 쪽으론가 치우쳐 있으므로, 과장식 수사법은 어떤 면은 놓치게 되지만 또 다른 면은 확실하게 보여 준다. ‘초조한 도시’가 과장해서 보여 주는 것은 도시의 밀도와 고도, 그것들이 교차해서 나타나는 리듬감, 나아가 도시의 위태로운 에너지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언젠가 다 폭발해서 모두가 분해돼 버릴 것 같은 그런 에너지 말이다. (121쪽)

도시를 만드는 주된 물질이 콘크리트임은 부정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콘크리트를 데리고 사는 것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내쫓을 수 없는 것이다. 삭막한 콘크리트라고 저주하면 우리는 콘크리트가 만든 문명의 붕괴와 함께 묻혀 버리고 말 것이다. 콘크리트는 없앨 수도, 그 표면을 장식하여 속을 가려 버릴 수도 없다. 콘크리트는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콘크리트를 회피하고 싶어서 그것을 다른 것으로 만들려 한다. 이제는 콘크리트를 직접 만나야 하지 않을까? (257쪽)
도시가 초조한 이유는 단지 시간에 쫓겨서만이 아니라 시간을 밀어붙이는 갈등과 압력의 밀도 때문이다. 우이암은 그 모든 것들을 비웃듯 고고히 서 있다. 우이암을 오른 산악인들은 초조한 도시를 초월해 있다. 물론 그들도 하산하면 어느 회사의 직원이고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가장이다. 그러나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을 디지털 사진 속에서 그들은 초조한 도시를 초월한 등반가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324쪽)

https://workroompress.kr/product/217756/





https://www.facebook.com/photo?fbid=1786864352140989&set=pcb.1786864375474320

https://www.facebook.com/photo/?fbid=3868975716647917&set=pcb.3868976653314490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

 


SeMA 옴니버스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

2024.08.22.~ 2024.11.17.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참여작가

구기정, 권병준, 권진규, 권하윤, 김실비, 김아영, 김을, 김주현, 람한, 박생광, 박현기, 배영환, 배윤환, 손동현, 신경희, 신승백김용훈, 심래정, 양혜규, 오민, 우순옥, 우한나, 이강소, 이건용, 이목하, 이불, 이수경, 이순종, 이슬기, 이영주, 전혜주, 천경우, 최병소, 한운성, 한지형, 홍승혜, 홍영인, 황선정, 흑표범

SeMA 옴니버스 전시는 2024년 기관 의제 ‘연결’을 장르적, 매체적, 시간적, 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대규모 소장품 주제 기획전입니다.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독립된 단편들을 엮어내는 이야기 형식인 옴니버스를 차용하여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서소문본관), 《나는 우리를 사랑하고 싶다》(북서울미술관), 《제9행성》(남서울미술관), 《아카이브 환상》(미술아카이브)까지 4개 관에서 4개의 전시가 서로 다르지만, 긴밀하게 이어집니다. 마치 숨은 그림을 찾듯이 동시대성과 여성작가라는 SeMA 소장품의 특징적 키워드를 찾아내면서 한국 현대미술이 주는 역동성과 다양성을 느껴보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는 SeMA 소장품을 매체 사이의 연결과 결합이라는 키워드로 읽어내고자 합니다. 포스트-미디엄/포스트-미디어 시대 매체를 매개로 예술가와 작품의 필연적 구조를 탐색하고,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 가상과 현실, AI와 신체 등 기술과 사회의 변화에 조응하는 매체가 만들어내는 우리 시대 매체/미디어의 다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전시입니다. 매체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가운데라는 의미의 메디움(medium), 사이에 있다는 뜻의 메디우스(medius)에서 유래했습니다. 현대미술에서 매체는 매개, 매질, 영매, 연결로서 작품과 작가, 작품과 관람자, 관람자와 미술관을 이어내는 복합적인 연결의 층들을 구성합니다. 올드 앤 뉴[Old & New], 옐로우 블록[Yellow Block], 레이어드 미디엄[Layered Medium], 오픈 엔드[Open End]와 같은 전시의 키워드들을 클릭하듯 따라가면 지금/여기의 매체적 상황은 단수이자 복수인 중층적 구조로 존재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인류학자 애나 칭의 『세계 끝의 버섯』과 호르헤 보르헤스의 소설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에서 영감을 받은 전시의 제목처럼 기후 위기와 자본주의의 막바지, 세계의 끝에서 예술가들은 우리가 어디에 서 있는지 예술을 통해 묻고 있습니다. 매체를 선택하고 갱신하는 과정에서 예술가들이 다양한 진폭을 넘나드는 고민 끝에서 작품을 만들어가듯이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 속에서 우리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연결을 꿈꾸게 됩니다. 그것은 완벽히 이어진 빈틈없는 연결이 아닌 이미 부분적이고 부서진 연결입니다. 예술은 바로 그 불완전하고 불충분함을 다시금 바라보라고, 그 잔해의 폐허 속에서 여전히 꿈틀대는 어떤 생명, 성찰, 저항, 희망, 상상 그 어떤 잠재적 가능성에 대하여 우리에게 말을 건네고 있습니다.


○ 전시 흐름: 섹션 안내


Part 1. 매체로 읽는 SeMA 소장품

미술관 소장품을 후대에 보존되어야 할 고정된 예술작품보다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는/항해하는 유연함에 기반한 오브제로 확장하여 바라봅니다. 소장품은 이미 물리적인 작품, 수장고, 관리 카드와 같은 고정되고 물리적인 실체뿐만 아니라 소장품 검색엔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유동적이고 비물질적인 데이터로 구축되고 있는 양가적 특징을 가집니다. 다변화하는 현대미술의 변모에 따라 미술관의 소장품도 근대적 소장품의 수집과 보존이나 활용 방식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와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블록체인과 같은 테크놀로지와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새롭게 설정되는 가능성으로 열려있습니다. 소장품을 작품과 작가, 작품과 관람객, 관람객과 미술관이 만나는 접점이자 그것의 작동을 매개하는 연결의 매체로서 제안합니다.


Part 2. 올드 앤 뉴 (Old & New)

매체를 단순한 캔버스나 물감 등과 같은 물적 토대를 넘어 기술적 지지체와 관습의 결합으로 이해하면서 SeMA 소장품을 매체의 구분(회화, 한국화, 조각, 설치, 사진, 판화&드로잉, 디자인) 속에서 살펴봅니다. 매체적 구분은 아이러니하게도 그 구분이 얼마나 연결되고 서로를 참조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회화는 드로잉을, 조각은 설치를, 사진은 영상을 보완하고 확장합니다. 그것은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 가상성과 수공성이 다채로운 층으로 공존하는 매체의 동시대성을 반영합니다. 작가가 어떤 매체를 선택한다는 것은 작품의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과의 필연성, 매체에 대한 새로운 실험과 시도, 사회와 기술의 변화에 따른 반응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포스트-매체 시대 매체를 통해 미술 내부나 사회, 기술의 변화를 투영해 내는 창작의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우리가 당면한 이 시대의 매체적 현실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Part 3. 옐로우 블록(Yellow Block) 

절대적이고 획일적인 시공간의 개념을 넘어 우연적이고 상대적인 시간을 이야기했던 보르헤스의 소설처럼 미술이 미래를 위해 과거를 공명하고 기록한다는 소장품의 선형적 개념을 넘어섭니다.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시간대의 사건들이 다양한 층위로 공존한다는 블록 시간(Block Time) 이론에 기대어 과거·현재·미래의 사건을 지금/여기로 소환합니다. 특히 신진작가들의 매체의 다양한 활용을 보여주는 섹션으로 매체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보여주면서 전시장 내 토크, 워크숍 등을 진행하는 인터-미디어 박스로 기능합니다.


Part 4. 레이어드 미디엄(Layered Medium)

합성, 하이브리드, 블렌딩, 리믹스 등 레이어드된 매체적 현실을 조명합니다. 차이와 복수성을 다원화하는 역동적인 리좀적 체계가 어떻게 소장품의 매체 속에 숨어있는지 탐색합니다. 작가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둘러싼 사회와 역사, 정치와 재난의 파편들을 감각과 언어, 그리고 미적 질서로 직조해냅니다. 끊임없이 현재로 소환되는 소장품에 새로운 참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간의 퇴적층에서 새로운 사건으로 발견됩니다. 소장품은 끊임없이 갱신되고 과거와 미래를 모두 담은 '현재'가 됩니다.


Part 5. 오픈 엔드(Open End) 

새로운 매체와의 연결고리를 통해 열린 실천 속으로 참여합니다. AI시대 프롬프트를 만드는 능력처럼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시각, 인간과 사물, 동물과 비인간과의 네트워킹 속에서 잠재성이 드러나는 순간을 발견해낼 수 있는가에 주목합니다. 이를 위해 관람객들이 직접 작품을 경험하는 시간을 제안합니다. 100년 전 소설가 구보가 경성 거리를 거닐면서 쏟아지는 신문물과 사회적 검열의 시대적 무게 속에서 자신의 길을 찾아갔듯이 오늘 우리는 그 열린 결말에 참여해 봅니다.

Yubido _tokyo

 

with Nakamura Masato

Dec. 2024

Tokyo

점으로 잇는 예술담화





https://ypcf.or.kr/shop_view/?idx=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