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Critic Festival 비평 페스티벌 2015
photos by Kiyoung Peik
June 2015
Seoul
https://t.co/jSNOGKkyt9 http://t.co/z8hTne8h5Q
Talking Picture Blues – Voices Rising
클레멘스 크뤼멜
Clemens Krümmel|강연
On this occasion,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ongoing exhibition
in Songwon Art Center, "Talking Picture Blues," This projected took off from my
personal as well as curatorial point of view. I would like to first give thanks
to Nayoungim and Gregory Maass of Kim Kim Gallery for making this exhibition
possible. Assuming that the audience hasn’t yet gotten the chance to go see it, I’m going to present to you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with some of its highlights. I have worked for a
long time as an editor for an art criticism journal―Texte zur Kunst―and also worked as an art critic. Now,
I am more of a lecturer and curator. As a writer and a translator, I had talked
about historical art forms mostly via writings. However, I have discovered
something new as I started teaching at a school in Zurich. Prior to this
position, my main interest was in written form of language yet it has shifted
to spoken language, or communication by means of talking. Of course, it wasn’t like I had been ignorant of spoken
language up to that point. I had been working with institutions that deal with
contemporary art and cooperating constantly with other institutions as well for
many years, so this kind of discovery was not in itself a discovery, yet a ‘re-discovery,’ I had been, to that point, a critic
mainly writing reviews, then I started having second thoughts about it. And
this had eventually led the way to a perspective on the art practice in
general.
Now, I’d like to talk about “Talking Picture Blues”. I’m going to go through these slides as if we’re viewing the exhibition together,
then I’ll add comments about it on the way. Here, we see the pages of “Le Petit Journal.” Each page is within a frame and this
has to do with the intention behind this exhibition in which “frames”play a significant role. I was hoping to witness the dynamics coming
alive within the frame so this will come up throughout the exhibition here and
there.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se kinds of printed pages. These were
mass produced and distributed to the public. When you see it up close, you'll
find how the scenes are demonstrated so effectively and vividly. This may have
been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between illustration and photography/cinema
of that time when the former had to fight for its place by developing effects
to make a scene more alive and dynamic than the latter. Almost all the scenes
here are portraying a disaster or an accident of some sort. Back then,
photography wasn't equipped with the technological skills to capture fast
moving scenes. Thus, depicting a sudden turn of event could be better realized
in abstract with illustration. What the camera was not capable of back then was
displaying the mobility and cruelty. Yet in illustration, it was possible to
depict a scene with a completely destructed building with no dust around at
all. The title "Talking Picture Blues" demonstrates the direction of the
exhibition to bring to life the senses from a certain situations to another
place or society. There are things that do not spread around from a culture of
a certain era or place but instead are difficult to deliver what it is
actually; this is what I meant be "blues". In this context, my
interest in history of cinema had been a significant part of the process in
bringing this exhibition together. So the exhibition site itself is constructed
in a way that it would give space to the history and transition of cinema,
arrange and juxtaposition the eras which we could not experience on our own to
have them indicate and explain one another.
This wall we see now is a plain wall, yet it is the center piece for
this exhibition. The overall concept of the exhibition could as well be said to
have come up from this very wall. What I wanted
to say through this space is the "gap" The gap between image and text, fact and interpretation. I
wanted to talk about the interpretations possible between them. A couple of
primary images are on both sides of this wall. These images are enlarged
illustrations. On the left is a sleeping person, and on the right is a person
who just woke up. The image from the
left side is from a series of a popular cartoon. The boy that just woke up
portrays how he is blinded by the phantasm of modernism. This character has had
a nightmare in his sleep and in his dreams, he sees internal images of from
imagination of modern architecture. This series of comics is characteristic in
its ending; waking up from this nightmare and falling off from the b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there you see the famous comedians, Marx Brothers. They
were genius comedians of the 1930-40s and this figure here is Harpo Marx. He
was the one, among the brothers, who never spoke. Instead of speaking, he would
make noises such as honking of a car to communicate and he was the model behind
this exhibition. The reason why I consider him to be the model is not only
because he was a famous comedian but because I learned a very important lesson
from him. It was the insight that whether it is spoken or written language, all
sorts of intellectual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via language may perhaps
be inferior to a more instinctive language via sound or performance. People
think that he was called "Harpo" because he played the harp. However,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his name was derived from the god of silence, Harpocrates. Now,
let's go more into the details. On this side of the wall, there is the
magnifying glass and a very long strip of comics that continue for quite a
length. It consists of little squares that go on and on, so small that it's
really hard and discouraging to take the time to see it. All the characters are realized in small
and uniform dots and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s or differences among the
personages are completely unrecognizable. Nevertheless, the story that is built
up with these dots is a family saga of six generations. The possibility itself
of a story not so complicated yet this long is the proof of the inner power of
image. Expressions that seem to be abstract and hollow have a power to unfold a
story. This is why in a certain aspect, exhibitions or works could make a joke
about something. It is a joke on the historical context, yet it is also a joke
on the concept we have of the visual. This work consists of dots that seem to
be there, yet is not exactly anything. So this could also be thought of as a
joke on the idea of realistic representation. Although there is a risk that
this kind of simple expression might merely be very superficial.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otential to ponder upon it. This work is by Polona in 1499.
This work is in a language I'm afraid I cannot pronounce. The novel has an erotic story in it and
it is based on the roman history. The historical background is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medieval to the renaissance. There are parts where it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classical architecture, then it moves on to private
stories. Since it demonstrates the early stages of printing techniques and
layout of a book, this is a historical work. This work, Grand Moving Mirror of
California is a very important work considering the overall flow of the
exhibition. This work is originally based in LA yet it has travelled to Berlin
and Seoul as well. Initially, it was produced in Velaslavasay Panorama in LA
which is an institution dedicated to pre-cinematic history. The scroll, as part
of this work, is a reconstruction of something from the history of
pre-cinematic era and was reproduced as a replica of the original. This work is
a reconstitution of a pre-cinematic medium that includes a scroll with moving
images of the mid-19th century and a narrator that explains what happens. This
medium is a work from the early history of modern art, where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journalism had still been somewhat unclear. In the process of
reconstituting it, a narrator is with the apparatus as was the case for the
original performance. Last week, there was a performance in Seoul and at that
time we had a translator and a group of people behind the box making sounds
with drums and Janggu. The theme drawn in the scroll was framed mainly of a
historical story and had symbolic and political layers. In this work, there
somehow had been intention to affect the immigrants from Mexico. When it came
down to realizing a local story affected by the Mexican immigrants, which is
the real story that took its place in California, the role of the showman was
crucial. The showman would on one hand deliver the story yet on the other hand
make it more dramatic by exaggerating it and adding lies.
Now, here we see the works of Lee Miyeon. She is one of the three
artists recommended by Nayoung Gim and Gregory Maass when I asked them if there
were pertinent Korean artists. Three artists I've mentioned are all great and they all need to be dealt with
separately but to put it briefly, her works embody many interesting points when
it comes to using space and images. When we get downstairs, we see an
installation work in a demi-sphere shape. And on the left from that point, are
images made from computer by Andreas Siekmann. These works are made by
Microsoft Word program's paint function. It attempts to talk about the excluded,
marginalized, and isolated by juxtaposing it with historical context. This must
have been very difficult to realize since it is made up of more than a hundred
or so layers. You'll get to understand his work better when you see the
interview I did with him. I believe he is an artist to take notice because he
is the kind of artist who can come up with contemporary works that take in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 with intricate devices. Next is Romana
Schmalisch's "Mobile Cinema". Schmalisch was inspired by a Russian avantgarde film director who
used to travel, produce and show films. One of the films this director showed
was a work portraying the future of Moscow. Schmalisch, as did the Russian
artist, traveled around Europe screening her own work and historical ones, or
films of other artists in her demi-sphere screen. This work is by Moritz Fehr,
who works with 3D image. This artist works with images with symbolic
significance rather than direct images. It would have been nice to show you
exactly what kind of images there are, yet he is a sound artist and his works
are based on sound so it's difficult to show you a particular image. This work is based on
Mohave Desert in California. A desert doesn't simply mean a static background, but a scene where it is ruined by
electricity. What I had intended throughout this exhibition was to focus on the
contemporary framing technique and the cultural paradigm that it embodies.
Here, highly developed techniques produce meanings such as the story-telling
apparatus as you've seen and we see how it is realized with the cultural paradigm. In
conclusion, I'd like to introduce you to a rather difficult work. First, let us
watch a part of a clip. The reason why I chose to show this work even though it's been a while since it was made was
because it reflected on the perspective of the 1980s on how abstract paintings
could be deliberated in language. I see a typical – even including his hairstyle – British art historian. But there is
Walter Benjamin’s name on it. I faced a handful of people with angry reactions when
I showed this a year and a half ago in Berlin. However, I don't think this work has misused the name
of Walter Benjamin. Rather, I think this is the biggest tribute one could give
to him. In my opinion, this is a work that demonstrates what perspective he
would have had on the presence and interpretation of art by contemporizing his
point of view. Of course, there is a long story behind this work. The man in
the screen certainly is not Walter Benjamin nor is he the one who made the
work. He is more an avatar, persona, or a mask of Walter Benjamin. I don't see this as the craziest thing ever
done in contemporary art. Behind the scene lays a person, indeed. In this case,
the protagonist is someone who wishes to stay anonymous. He had hoped to stay
anonymous, yet a few people who couldn't stand a secret had succeeded in
tracking him down. In this work, Walter Benjamin talk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Picasso, Cezanne, Mondrian's original works and its replicas. The catch here is how he talks
about Mondrian's work from the 1960s to 1990s because Mondrian wasn't alive at that point. Also, there's another layer of abstraction to it as
he asks rhetorical questions to the audience. For example, he asks if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painting that is supposed to be pure with no personal
trace. Due to limited time I cannot explain everything in this session, but the
artist behind this work is in the U.S. If you're interested in appropriation and reproduction of modernism or
postmodernism, you'll be able to visit him one day.
Thank you.
클레멘스 크뤼멜
Clemens Krümmel|강연
저는 송원아트센터의 전시《Talking Picture Blues _Voice Rising 토킹 픽쳐 블루스_ 커지는 목소리들》(2015. 6. 12 ~ 7. 11)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저의 개인적이고 큐레이터적인 접근에서 시작 되었습니다. 우선 전시를 보지 못한 이들을 위해 전체적인 구조와 하이라이트를 보여드리려 합니다. 저는 미술비평지 Texte zur Kunst의 에디터이자 오랫동안 비평을 써오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주로 강연자이자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가이자 번역가로서는 주로 글을 통해 역사적인 예술 형식에 대해 이야기해왔습니다. 그런데 취리히에 있는 학교에서 강의를 하면서 무언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글로 쓰인 언어에 관심이 있었다면, 가르치면서는 발화하는 것, 말하면서 소통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입니다. 물론 제가 그때까지 발화된 언어에 대해서 무지했던 것은 아닙니다. 저는 수년 동안 동시대 미술을 다루는 기관에서 일하고 다른 기관들과도 협력해왔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발견은 말 그대로 발견이라기보다는 ‘재발견’이었습니다. 이전까지는 리뷰를 작성하는 비평가로 활동해왔는데 이에 대해서 회의를 품기 시작했고, 이러한 관점이 예술 관행 전반에 대한 생각으로 확장되었던 것입니다.
이제 《토킹 픽쳐 블루스》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마치 함께 전시장을 거닐며 보는 것처럼 순서대로 사진을 보여드리고 이에 따라 코멘트를 하겠습니다. 여기 1900년대의 신문 Le Petit Journal을 볼 수 있습니다. 각 페이지는 틀 속에 있는데, 이는 사실 기획 의도에 ‘틀’이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틀 안에서 살아나는 역동성을 보고 싶었고, 전시 전체에 그런 흔적들이 드러나 있습니다. 저는 예전부터 이런 유의 인쇄물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인쇄물들은 대량생산되어 대중에게 배포되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장면들이 아주 효과적이고 생생하게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삽화가 당시 획기적 발견이었던 사진 및 영화와 경쟁하면서 더 생동감 있고 역동적으로 보이기 위한 효과들을 개발해낸 결과물로 볼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장면이 재앙이나 사고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당시만 해도 사진에는 이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장면을 포착할 기술이 장착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그림을 통해 급작스러운 전개들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었습니다. 당시 카메라가 해내지 못했던 일은 바로 운동성과 잔인함을 드러내는 것이었는데, 그림은 오히려 먼지 없이 깨끗하면서도 완전히 파괴되어버린 건물과 같은 것으로 장면을 묘사하는 일이 가능했던 것입니다.
제목인 《토킹 픽쳐 블루스》는 특정 상황 속에서 나올 수 있는 감각들을 어떤 장소나 사회에서 살려내려고 한 기획 의도를 담은 것입니다. ‘블루스’는 어떤 시대적인, 장소적인 문화에서부터 직접 전파되는 것이기보다는 실제적으로 전달하기 어려운 부분을 지칭하고자 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화의 역사에 대한 관심도 기획의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영화의 역사와 변화에 공간을 마련해주고, 우리는 직접 경험할 수 없었던 시대들을 옆에 배치하고 병치시킴으로써 서로가 서로를 가리키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구성하고자 했습니다.
여기 제시되고 있는 벽면은 평범한 벽처럼 보이지만 이 전시의 주인공입니다. 전시의 전체적인 기획이 바로 이 벽면에서부터 나왔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이 공간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간극’입니다. 이미지와 텍스트, 그리고 사실과 해석 사이의 간극. 그 사이에서 나올 수 있는 해석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이 벽의 중요한 이미지는 양옆에 있습니다. 이 이미지들은 일러스트를 확대한 것입니다. 왼쪽은 자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고, 오른쪽은 이제 방금 깨어난 사람의 모습입니다. 왼쪽의 일러스트는 유명한 만화가의 연작에서 나온 것입니다. 지금 잠에서 깨어난 아이는, 이제 막 모더니즘의 환영을 보게 되고 그로 인해 눈이 멀어버린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인물이 자는 동안 꾼 악몽은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상상적·내적 이미지로 가득합니다. 이 악몽으로부터 깨어나면서 침대에서 굴러떨어지는 장면으로 만화가 끝나는 것이 이 연작의 특징이죠.
전시 벽면의 위를 보면 유명한 미국 코미디언인 막스 형제Marx brothers을 볼 수 있습니다. 1930~1940년대의 천재적인 코미디언들이었는데, 여기에 제시된 인물은 하포Harpo입니다. 하포는 형제들 중에서 절대로 말을 하지 않았던 사람입니다. 대신 주로 클랙슨의 빵빵 소리 같은 것을 통해 소통했는데, 그가 바로 이 전시를 기획하는 데 모델이 되었던 인물입니다.
제가 그를 모델로 삼았던 이유는 단지 그가 유명한 코미디언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로부터 어떤 중요한 것을 배웠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구어든 문어든 어떤 종류의 지적인 소통, 즉 언어로써 이루어진 소통이 어떤 점에서는 사운드나 퍼포먼스를 통한 직관적 소통에 비해 열등할 수도 있다는 통찰이었습니다. 사람들은 하포가 하프를 연주하기 때문에 하포라고 불렸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실 이 이름은 침묵의 정령이었던 하르포크라테스를 따른 것입니다.
이제 디테일로 들어가보려 합니다. 이 벽면에는 돋보기가 있고 가로로 길게 이어진 만화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가 쉽지 않고 볼 의욕이 떨어질 만큼 작은 네모난 틀의 연속입니다. 모든 인물은 작고 동일한 점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캐릭터의 특징이나 차이를 전혀 알아볼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작은 점들을 가지고 만들어낸 것은 여섯 세대나 걸쳐서 이어진 가정사입니다. 이렇게 단순하지만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지의 내적 힘에 대한 증거입니다. 추상적이고 비어 있는 것같이 보이는 표현이라도 이런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는 어떤 측면에서는 전시나 작품들이 무언가를 풍자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역사적인 맥락에 대한 풍자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시각에 대해 가진 관념에 도전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무언가 있는 것도 같지만 사실은 아무것도 아닌 점들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재현의 개념에 대한 조롱으로 생각해볼 여지도 있습니다. 이처럼 이 작품의 단순한 표현은 매우 피상적일 위험이 있지만 오히려 굉장히 깊이 생각하게 하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1499년 폴로나의 작품을 보겠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은 안타깝게도 제가 발음할 수 없는 언어로 되어 있습니다. 이 소설에는 에로틱한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로마의 역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시대적 배경은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때입니다. 고전적인 건축의 원칙들을 이야기하면서 그것이 사적인 이야기로 넘어가는 지점들이 보입니다. 이 작품이 역사적인 이유는 인쇄술이 발전하고 책의 레이아웃이 만들어지던 당시의 초창기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캘리포니아의 거대한 움직이는 거울 Grand Moving Mirror of California〉은 전시의 전체적인 흐름상 매우 중요한 작품입니다. LA에 있었던 것을 베를린을 거쳐 서울로 가지고 온 것으로, 원래보다 작게 만든 모델입니다. 이 작품은 영화 이전의 역사를 다룬 기관인 벨라스라바사이 파노라마(LA 소재)가 제작한 것입니다. 영화 이전 역사 속에 있던 것을 그대로 재건축해낸 이 작품의 한 부분인 두루마리도 예전 것과 똑같이 만든 것입니다. 이 작품은 19세기 중반 움직이는 이미지들을 두루마리에 그리고 돌려서 움직이며, 옆에 있는 낭독자가 설명을 해주는 전前 영화적 매체를 재구성한 것입니다. 이러한 매체는 모던아트 역사의 초창기에 해당되는 작품이고, 예술과 저널리즘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았을 때의 것입니다. 이를 재구성할 때, 본래 모습과 마찬가지로 낭독자가 함께 합니다. 6월 둘째 주에 서울에서 퍼포먼스를 했는데, 통역가를 대동하고, 이 박스 뒤에 사람이 들어가 북, 장구 등 으로 소리를 냈습니다.
이 두루마리에 그려진 주제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골조로 하여 상징적, 정치적 층위를 다룬 것입니다. 이 작품은 멕시코 출신 이민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캘리포니아에서 있었던 실화, 즉 멕시코 이민자로부터 영향을 받은 지역의 이야기를 구현할 때, 쇼맨의 역할이 중요했습니다. 쇼맨은 내용을 소통시키는 한편 이를 과장과 거짓말로 더 드라마틱하게 만들어서 선보였습니다.
이미연 작가의 작품을 함께 보려 합니다. 이 전시를 초대한 김나영과 그레고리 마스에게 이 전시와 관련된 주제로 작업하는 한국 작가 세 명을 추천받았는데, 그중 한 명입니다. 세 작가 모두 각각 설명해야 할 만큼 작업이 훌륭하지만, 요약해서 이야기하자면 공간이나 이미지 사용에 있어 매우 흥미로운 지점이 많습니다.
아래 층의 전시장으로 내려가면 가운데에 설치된 작품을 볼 수 있습니다. 거기서 왼쪽을 보면 안드레아스 시크만Andreas Siekmann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만든 이미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프로그램의 페인트 기능으로 만들어낸 작품들입니다. 역사적 맥락들을 병치시키면서 제외되는 것, 소외되는 것, 고립되는 영역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입니다. 각 작품은 100장이 훨씬 넘는 층위가 있기 때문에 구현하기 매우 어려웠을 것입니다. 제가 이 작가와 인터뷰한 내용을 참고하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잡한 장치를 통해서 정치적이고 역사적인 맥락들을 가져와 동시대적인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로마나 슈말리시Romana Schmalisch의 <모바일 시네마Mobile Cinema〉입니다. 슈말리시는 여행하면서 영화를 만들고 상영하기도 했던 한 러시아 아방가르드 영화감독으로부터 영감을 받았습니다. 그때 이 감독이 보여주었던 영화 중 하나는 모스크바의 미래를 예시하는 작품이었다고 합니다. 슈말리시는 러시아 작가가 했던 것처럼 유럽을 돌아다니며 자신의 작품이나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다른 영화, 혹은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반구 스크린으로 상영합니다.
모리츠 페어Moritz Fehr는 3D 이미지로 작업을 하는 작가입니다. 직접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기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긴 이미지를 생산해냅니다. 어떤 구체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면 좋겠지만 그가 사운드 아티스트이고, 작품들이 소리에 베이스를 두고 있기 때문에 그러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작품의 기반이 되는 것은 캘리포니아의 모하비 사막입니다. 사막이라고 해서 단지 정지된 상태의 배경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전기에 의해 황폐화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가 이 전시에서 의도했던 바는 동시대적인 프레이밍 기법과 함께 그것에 들어가 있는 문화적 패러다임들에 주목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는 고도로 발전된 기술들이 의미를 창출해내고 있는데, 위에는 스토리텔링을 하는 기구들이 있고, 그것이 곧 문화적 패러다임과 함께 구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설명하기 다소 어려운 작품에 대해 말해보려 합니다. 우선 영상의 일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꽤 오래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보여드리는 이유는 이것이 추상화에 대해서 어떻게 언어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지에 대한 1980년대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영상의 강연자는 멋있는 영국 억양의 소유자인 한 남성입니다. 머리 스타일까지 포함해서 전형적인 영국계 미술사가로 보입니다. 그런데 발터 벤야민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1년 반 전에 이 작품을 베를린에서 보여주었을 때 꽤 많은 사람이 굉장히 화가 난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 작품이 발터 벤야민이라는 이름을 함부로 사용했다고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저는 벤야민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존경의 표시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작품이 발터 벤야민의 견해들을 동시대화하여 그가 예술의 존재와 해석에 대해 어떤 관점을 지니고 있었는가를 보여준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작품에는 물론 긴 배경이 있습니다. 화면 속 사람은 당연히 발터 벤야민이 아니며, 이 영상을 제작한 작가도 아닙니다. 그는 발터 벤야민의 아바타, 페르소나, 혹은 가면에 해당되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런 작업이 동시대 예술에서 할 수 있는 가장 미친 짓까지는 아니라고 봅니다. 배후에는 당연히 어떤 인물이 존재합니다. 배후의 주인공은 익명으로 남고자 하는 사람입니다. 그는 계속해서 익명으로 머물고자 했지만, 비밀이라는 것을 전혀 견딜 수 없는 일부 사람들이 결국 그를 발견해냈습니다. 이 작업에서 벤야민은 피카소와 세잔, 몬드리안의 실제 작품과 복제품이 어떻게 다른지를 이야기합니다. 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몬드리안의 작품을 이야기하는 점이 흥미로운데, 몬드리안이 그때쯤엔 살아 있지 않았기 때문이죠. 또한 이 작품에는 관객에게 수사적인 질문을 던진다든가 하는 또 다른 추상화 작업의 층위가 있습니다. 예컨대 사람의 흔적 없이 순수해 보여야 하는 그림을 복제하는 것이 가능한가의 질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시간상 전부를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이 작품의 아티스트가 배후에서 작업하고 있는 미술관이 미국에 있습니다. 모더니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전용과 복제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이라면 찾아갈 수 있을 겁니다.
통번역 유지원 Jiwon Yu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