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A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2020. 8. 12 – 11.15
서울시립미술관은 동시대적 퍼포먼스에 주목하는'하나의 사건(This Event)'전을 8월 12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2, 3층 전시실과 세마휴(전시동 옥상)에서 전시를 진행 중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아직은 생소한 " ‘동시대 퍼포먼스’를 이해하고 고민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2020년 전시의제로 ‘퍼포먼스’를 선정했다"고 전시의 의미를 전했다.
미술관은 퍼포먼스 장르를 다각도로 살펴보기 위해 해당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김정현, 김해주, 서현석 기획자를 이번 전시의 공동기획자로 초청하여 ‘기록, 현장, 시간, 신체적 현존’이라는 네 가지 개념으로 장르에 접근했고, 전시는 '부재의 현장성', '마지막 공룡', '무빙 / 이미지', '이탈'로 크게 네 개 구성으로 기획되었다.
■ '하나의 사건'展 전시 구성
퍼포먼스는 1960년대 이후 '지금 여기'라는 현장에서 벌어지는 '사건'형식의 낯설고 실험적인 예술이었다. 사건을 발생시키는 예술가의 행위와, 현장을 목격하고 개입하는 관람객의 참여는 퍼포먼스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그 모두는 완료와 동시에 과거의 시간 속으로 기억과 경험을 남기고 사라진다. 이러한 퍼포먼스의 일회적이며, 탈 물질화된 특성은 시간의 유한함에서 근원하는 가치를 부여 받으면서도 동시에 시간의 한계와 마주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나의 사건>전은 퍼포먼스에 내재한 여러 층위의 특성들을 통해 퍼포먼스를 다루는 시각예술에서의 다양한 시도와 소통방식을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으면서 사회가 전반적으로 비대면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공교롭게도 현장 경험에 가치를 부여해왔던 퍼포먼스를 주목하는 전시를 개최하게 되었다. <하나의 사건>전은 퍼포먼스라는 장르 특성에 대한 탐구, 비물질적인 예술을 전시화하기 위한 방식, 그리고 코로나 시대에 퍼포먼스를 향유하는 양상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번 전시는 김정현 김해주 서현석 초청 기획자와 함께 퍼포먼스를 바라보는 4가지 주제로 ‘기록, 현장, 시간, 신체적 현존’ 이라는 관점에 주목하여 전개하였다.
'부재의 현장성'에서는 신체적 참여와 시간의 유한성이라는 특성에 배치되는 스코어, 지시문, 기록과 같은 퍼포먼스의 흔적들을 통해, 각각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퍼포먼스 구조 내에서 기록과 라이브 퍼포먼스와의 유기적인 관계 및 지속적으로 변주 가능한 저장소로서 역할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공룡'에서는 멸종위기에 몰린 ‘공룡’으로 은유된 물리적 참여에 의문을 가지고 퍼포먼스에서 비가시적인 요소들과 물리성을 교차시키며 퍼포먼스에 기대하는 지점과 그것을 빗겨나가는 경계를 보여준다. 전시라는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 ‘현장성’의 한계와 마지막까지 남게 되는 퍼포먼스의 요소를 탐구한다.
'무빙 / 이미지'에서는 관람객의 인지 작용에 의해 시간과 공간 속에서 회화, 조각, 설치 등이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다. 신체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 각각의 단절된 이미지가 획득한 운동성으로 이루어진 퍼포먼스의 새로운 형태를 제안한다.
'이탈'은 장소 성격에 따라 구분하였던 블랙 박스와 화이트 큐브라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 VR을 통해 퍼포먼스의 새로운 현장에 관객들을 초대한다. 미술사에서 언급되는 퍼포먼스를 가상현실 속에서 재해석하며, 과거 ‘물리적’ 신체성을 통해 전복시켰던 기존 가치들을 오늘날 테크놀로지로 창조한 가상세계에서 구현한 현존의 모호함으로 우리의 신체와 인식을 흔들어 놓는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록과 라이브'(부재의 현장성), '현장성과 수행성'(마지막 공룡), '시간성과 운동성'(무빙 /이미지), '신체성과 현존'(이탈)이라는 서로 교차되거나 대립하는 상호 연관 개념들을 통해 퍼포먼스에 내재한 다양한 의미들을 동시대적 시각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하나의 사건>을 경험한 후 관객들은 전체 구조 안에서 서로를 드러내며 보완하는 얼개를 지나쳐 왔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아직까지 퍼포먼스가 낯선 관객들이 다채로운 체험을 하면서 퍼포먼스와 더 가까워 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아시아아츠 = 김창만 기자]
■ '하나의 사건'展 전시 구성
퍼포먼스는 1960년대 이후 '지금 여기'라는 현장에서 벌어지는 '사건'형식의 낯설고 실험적인 예술이었다. 사건을 발생시키는 예술가의 행위와, 현장을 목격하고 개입하는 관람객의 참여는 퍼포먼스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그 모두는 완료와 동시에 과거의 시간 속으로 기억과 경험을 남기고 사라진다. 이러한 퍼포먼스의 일회적이며, 탈 물질화된 특성은 시간의 유한함에서 근원하는 가치를 부여 받으면서도 동시에 시간의 한계와 마주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나의 사건>전은 퍼포먼스에 내재한 여러 층위의 특성들을 통해 퍼포먼스를 다루는 시각예술에서의 다양한 시도와 소통방식을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으면서 사회가 전반적으로 비대면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공교롭게도 현장 경험에 가치를 부여해왔던 퍼포먼스를 주목하는 전시를 개최하게 되었다. <하나의 사건>전은 퍼포먼스라는 장르 특성에 대한 탐구, 비물질적인 예술을 전시화하기 위한 방식, 그리고 코로나 시대에 퍼포먼스를 향유하는 양상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번 전시는 김정현 김해주 서현석 초청 기획자와 함께 퍼포먼스를 바라보는 4가지 주제로 ‘기록, 현장, 시간, 신체적 현존’ 이라는 관점에 주목하여 전개하였다.
'부재의 현장성'에서는 신체적 참여와 시간의 유한성이라는 특성에 배치되는 스코어, 지시문, 기록과 같은 퍼포먼스의 흔적들을 통해, 각각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퍼포먼스 구조 내에서 기록과 라이브 퍼포먼스와의 유기적인 관계 및 지속적으로 변주 가능한 저장소로서 역할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공룡'에서는 멸종위기에 몰린 ‘공룡’으로 은유된 물리적 참여에 의문을 가지고 퍼포먼스에서 비가시적인 요소들과 물리성을 교차시키며 퍼포먼스에 기대하는 지점과 그것을 빗겨나가는 경계를 보여준다. 전시라는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 ‘현장성’의 한계와 마지막까지 남게 되는 퍼포먼스의 요소를 탐구한다.
'무빙 / 이미지'에서는 관람객의 인지 작용에 의해 시간과 공간 속에서 회화, 조각, 설치 등이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다. 신체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 각각의 단절된 이미지가 획득한 운동성으로 이루어진 퍼포먼스의 새로운 형태를 제안한다.
'이탈'은 장소 성격에 따라 구분하였던 블랙 박스와 화이트 큐브라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 VR을 통해 퍼포먼스의 새로운 현장에 관객들을 초대한다. 미술사에서 언급되는 퍼포먼스를 가상현실 속에서 재해석하며, 과거 ‘물리적’ 신체성을 통해 전복시켰던 기존 가치들을 오늘날 테크놀로지로 창조한 가상세계에서 구현한 현존의 모호함으로 우리의 신체와 인식을 흔들어 놓는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록과 라이브'(부재의 현장성), '현장성과 수행성'(마지막 공룡), '시간성과 운동성'(무빙 /이미지), '신체성과 현존'(이탈)이라는 서로 교차되거나 대립하는 상호 연관 개념들을 통해 퍼포먼스에 내재한 다양한 의미들을 동시대적 시각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하나의 사건>을 경험한 후 관객들은 전체 구조 안에서 서로를 드러내며 보완하는 얼개를 지나쳐 왔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아직까지 퍼포먼스가 낯선 관객들이 다채로운 체험을 하면서 퍼포먼스와 더 가까워 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아시아아츠 = 김창만 기자]
섹션 1 | 부재의 현장성 (강세윤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참여 아티스트 : 최윤석, 아트 인큐베이터, 정아람, 권령은
신체적 참여와 시간의 유한성이라는 특성에 배치되는 스코어, 지시문, 기록과 같은 퍼포먼스의 흔적들을 통해, 각각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퍼포먼스 구조 내에서 기록과 라이브 퍼포먼스와의 유기적인 관계 및 지속적으로 변주 가능한 저장소로서 역할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참여 아티스트 : 최윤석, 아트 인큐베이터, 정아람, 권령은
신체적 참여와 시간의 유한성이라는 특성에 배치되는 스코어, 지시문, 기록과 같은 퍼포먼스의 흔적들을 통해, 각각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퍼포먼스 구조 내에서 기록과 라이브 퍼포먼스와의 유기적인 관계 및 지속적으로 변주 가능한 저장소로서 역할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섹션 2 | 마지막 공룡 (김정현 초청 기획자)참여 아티스트 : 디오라마비방씨어터_송주호, 윤지영X스티븐 콱, 조현아, 지아지아 치
멸종위기에 몰린 ‘공룡’으로 은유된 물리적 참여에 의문을 가지고 퍼포먼스에서 비가시적인 요소들과 물리성을 교차시키며 퍼포먼스에 기대하는 지점과 그것을 빗겨나가는 경계를 보여준다. 전시라는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 ‘현장성’의 한계와 마지막까지 남게 되는 퍼포먼스의 요소를 탐구한다.
멸종위기에 몰린 ‘공룡’으로 은유된 물리적 참여에 의문을 가지고 퍼포먼스에서 비가시적인 요소들과 물리성을 교차시키며 퍼포먼스에 기대하는 지점과 그것을 빗겨나가는 경계를 보여준다. 전시라는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 ‘현장성’의 한계와 마지막까지 남게 되는 퍼포먼스의 요소를 탐구한다.
섹션 3 | 무빙 / 이미지 (김해주 초청 기획자)참여 아티스트 :구민자, 김동희, 로리 필그림, 민구홍 매튜팩처링, 박민희, 박아람, 알렉스 체케티, 정서영, 주앙 도스 산토스 마틴스
관람객의 인지 작용에 의해 시간과 공간 속에서 회화, 조각, 설치 등이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다. 신체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 각각의 단절된 이미지가 획득한 운동성으로 이루어진 퍼포먼스의 새로운 형태를 제안한다.
관람객의 인지 작용에 의해 시간과 공간 속에서 회화, 조각, 설치 등이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다. 신체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 각각의 단절된 이미지가 획득한 운동성으로 이루어진 퍼포먼스의 새로운 형태를 제안한다.
섹션 4 | 이탈 (서현석 초청 기획자)참여 아티스트 :서현석
장소 성격에 따라 구분하였던 블랙 박스와 화이트 큐브라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 VR을 통해 퍼포먼스의 새로운 현장에 관객들을 초대한다. 미술사에서 언급되는 퍼포먼스를 가상현실 속에서 재해석하며, 과거 ‘물리적’ 신체성을 통해 전복시켰던 기존 가치들을 오늘날 테크놀로지로 창조한 가상세계에서 구현한 현존의 모호함으로 우리의 신체와 인식을 흔들어 놓는다.
장소 성격에 따라 구분하였던 블랙 박스와 화이트 큐브라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 VR을 통해 퍼포먼스의 새로운 현장에 관객들을 초대한다. 미술사에서 언급되는 퍼포먼스를 가상현실 속에서 재해석하며, 과거 ‘물리적’ 신체성을 통해 전복시켰던 기존 가치들을 오늘날 테크놀로지로 창조한 가상세계에서 구현한 현존의 모호함으로 우리의 신체와 인식을 흔들어 놓는다.
https://sema.seoul.go.kr/ex/exDetail?exNo=461365&glolangType=KOR¤tPage=1&exGr=&museumCd=&targetDate=&searchDateType=CURR&searchPlace=
http://m.asiaarts.net/view.php?ud=EH151254083404f6c6bd0e60_38
Minja Gu 구민자 <42 .195="">(2006)
42>
http://m.asiaarts.net/view.php?ud=EH151254083404f6c6bd0e60_38
Minja Gu 구민자 <42 .195="">(2006)
42>
구민자, 짱구의 세상, 2020, 3채널 비디오, 컬러, 무음
구민자는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의 햇빛과 날씨, 시간을 파편적인 장면으로 보여줍니다. 주인공 짱구의 나이는 늘 5살인 것과 다르게 흘러가는 장면은 시간에 대한 대조적인 관점을 부여합니다. 만화 속 또 다른 캐릭터 맹구가 제안하는 다양한 놀이를 포스터로 제작한 작품도 바닥에 놓여 있습니다. 주변의 움직임에 따라 잔잔한 소리를 내는 알렉스 체케티의 '노래하는 선'도 살펴봅시다. 부드러운 곡선을 품은 설치작품이었다가 관객이나 퍼포머의 참여로 퍼포먼스를 발생시키도 합니다. 맞은편 벽에 걸려 있는 알록달록한 스커트는 화려한 색감만큼이나 착용할 때 완전한 작품이 되는데, 관객이 입고 회전하며 움직일 때 그 이미지와 텍스트가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구민자와 알렉스 체케티의 작품 모두 퍼포먼스가 전시와 겹쳐지는 순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p/CIVGysmlfmM/
http://v2v.cc/v2v/Continuity_-_Chung_Seoyoung
Continuity, film, 2:58, dimensions variable⠀
정서영은 2004년 전쟁사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광주비엔날레에서 한 퍼포먼스 영상 ‘광주, 9월 5일’을 재구성한 ‘Continuity’를 선보인다. ⠀⠀
Chung Seoyoung showcasing “Continuity,” which reconstructs the performance video “Gwangju, September 5,” was showed at the Gwangju Biennale as part of the 2004 DICTIONARY OF WAR project.⠀
DICTIONARY OF WAR / dictionaryofwar.orghttp://v2v.cc/v2v/Continuity_-_Chung_Seoyoung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