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gewöhnliche Gewöhnlichkeit – Ingo Baumgartens Spannungsästhetik
낯선 익숙함 - 잉고 바움가르텐의 "긴장(Spannung)"의 미학
임성훈(미학, 미술비평)
잉고 바움가르텐의 그림을 처음 본 순간 왠지 모르게 낯선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이내 그 낯섦은 너무나도 익숙한 것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 바움가르텐은 특별하거나 스펙타클한 것이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건축물, 구조물, 사물 등을 그린다. 낯섦과 익숙함이 이중적으로 교차되는 느낌을 주는 그림들은 과연 무엇을 재현하고 있는가? 나는 바움가르텐의 회화가 사회적 풍경이라는 주제와 조형적 감각 사이에서 펼쳐지는 “미학적 긴장(ästhetische Spannung)”을 재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짧은 글은 이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을 서술한 것이다. 회화는 문화의 그림이다. 그러기에 회화의 의미는 단지 조형적 이해를 넘어 문화적 지평에서 파악된다. 독일 출신 작가인 바움가르텐은 일본, 중국, 한국 등 아시아의 여러 나라의 문화를 경험하고, 자신의 고유한 회화성을 적용하면서 새로운 예술언어를 지속적으로 구축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특히 한국의 다양한 건축물을 그린다. 건축은 문화를 가장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주목할 만한 것은 바움가르텐이 유명한 사찰이나 역사적으로 기억될 만한 건물 또는 기념비적인 건축물이 아니라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일상적 건물들을 소재로 해서 그린다는 점이다. 바움가르텐은 일상의 미학으로 문화를 탐구하는 작업을 한다. 19 세기말 이후 오늘에 이르는 한국 건축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극심한 변화를 겪으면서 전개되었다. 개화기에 유럽의 건축문화가 소개되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 건축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해방 후 한국 전쟁을 거쳐 1960 년대에는 경제개발을 내건 산업화에 따라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또한 베이비 붐의 영향으로 주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다. 특히 1970 년대 이후 주택을 전면적으로 개량하자는 구호 아래 많은 전통가옥이 해체되었고, 시골지역에는 슬레이트(slate) 지붕을 얹은 집 그리고 도시에는 콘크리트와 현대식 건축 양식 및 재료를 결합해서 지은 양옥이 등장하였다. 1990 년대 이후로는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이 집중적으로 세워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건축미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고, 기이하고 변칙적인 형태의 주택들이 등장하게 된다. 바움가르텐은 다양한 건축과 구조물 그리고 사물들 중에서도 특히 양옥과 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한 그림을 많이 그린다. 이는 아마도 그가 양옥과 다세대 주택에서 한국적인 문화와 일상의 디테일한 부분을 보았을 뿐만 아니라 조형적으로도 흥미로운 요소를 읽어냈기 때문일 터이다. 바움가르텐은 자신의 회화에서 사회적 풍경을 재현한다. 그런데 그가 사회적 풍경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그림을 그린다는 식으로 오해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가 그린 양옥, 빌딩, 다세대 주택, 다양한 구조물 등은 사회적 풍경에 대한 조형적 메타포로서의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또한 눈여겨 볼 것은 바움가르텐의 회화에 나타난 이미지는 전체가 아니라 부분이 재현되었다는 점이다. 부분은 단지 전체의 한 요소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부분의 디테일이 배제된 전체의 통일이나 조화는 무의미하다. 아도르노는 헤겔이 전체는 진리라고 말한 것에 반대해서 전체는 비진리라고 비판한다. 부분의 진실이 없다면 전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네 삶 또한 마찬가지이다. 전체로서의 삶은 불가능하다. 삶은 오직 부분으로서, 그리고 부분으로 묶어지는 과정인 것이다. 바움가르텐은 건축물의 부분을 보여주지만, 그 부분은 화면에서 전체로 변용된다. 마치 삶의 부분들이 삶의 형식이라는 그림을 이루듯이 말이다. 순전히 형식적인 측면만을 고려한다면, 한편으로 바움가르텐의 그림은 사물을 즉물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차가운 구성적 형태로 표현하는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의 작품과 유사해 보이고, 또 다른 한편으로 디자인적 구조나 개념적으로 규정된 구성을 추구하는 작품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신즉물주의, 디자인, 개념, 구조 등의 관점에서 그의 작품을 기술하거나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설득력을 갖지 못한다. 왜냐하면 작품에는 의외로 감성적인 요소가 현저히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양미학에서 중요한 ‘절제’가 화면에 나타나 있기에 잘 드러나 있지 않을 따름이지, 조금만 더 들어가 그의 그림을 보면 단순한 이미지에서 표상될 수 있는 풍부한 감성적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또한 그의 그림에서 주관과 객관의 이분법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 주관에서 객관으로, 그리고 객관에서 주관으로 상호적으로 침투하는 미학적 긴장들이 화면 가득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바움가르텐의 회화는 관람자에게 사뭇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감상을 요청하고 있는 듯 보인다. 바움가르텐은 미묘하고 섬세한 관찰을 통해 포착한 시각적 구성을 화면에서 재현한다. 시각적 요소가 강조되어 있기는 하지만, 찬찬히 시간을 두고 바라보고 있노라면 의외로 공간성이 풍부하게 환기된다. 이러한 공간성은 화면 전체의 구성과 구조가 만들어내는 밀도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무엇보다 화면의 공간 분위기는 절묘한 색의 어울림에 의해 발현된다. 공간, 구성 그리고 색은 화면에서 상호적으로 긴밀하게 연관된다.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이러한 연관성이 조형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풍경에 대한 함축적 지표가 된다는 점이다. 실상 바움가르텐의 회화적 관심은 단순히 한국의 건축, 구조물 그리고 사물의 구성미나 구조미를 표현하는데 있지 않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그가 그려낸 화면에서 견고한 구성과 구조에 따른 조형적 완결성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지 그것에만 머문다면 그의 고유한 회화적 특징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보이는 것은 익숙하고, 보이지 않는 것은 낯설다. 그런데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을 언제나 가리키게 마련이다. 보이는 것의 즉물성을 넘어 보이지 않는 것을 생각하게 하는 것은 회화가 지닌 가장 큰 힘이다. 바움가르텐의 그림을 다시 보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회화적 지평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지 않은가! 낯섦과 익숙함의 상호관련성을 도식적으로 표현하는 작품은 많다. 그러나 양자 사이에 내재한 다양한 조형적 긴장을 미학적으로 견인하는 작품을 찾아보기란 그리 흔치 않은 일이다. 바움가르텐의 회화는 사회적 풍경을 이루는 낯섦과 익숙함을 주제와 감각 사이의 “미학적 긴장”으로 재현한다. 바로 이 긴장이 결정적으로 그의 회화를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https://www.ingobaumgarten.de/texts/Lim%20Sung%20Hoon-Ungewoehnliche%20Gewoehnlichkeit.pdf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