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연 (미술사)
구민자, 이완, 박준범은 한국 미술에서 오브제가 도입된 후에 본격적으로 개념예술적인 행보를 선보여온 작가들이다. 특히 올 3월초에 대구미술관에서는 이완의 <<개인전>>이, <<젊은 모색>>전에는 구민자의 최근 프로젝트들이 선보일 예정이고, 2월말부터 3월 중순까지 덴마크 니콜라스 쿤스트할의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에 박준범의 영상작업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완, 구민자, 박준범은 공통적으로 기존의 물건이나 ‘레디메이드’로서의 각종 시스템들로부터 출발한다. 하지만 이들 작업에서 주어진 일반 물건으로서의 오브제나 시스템들은 그 자체의 물질성이나 물리적인 존재감보다는 사회시스템에 대한 비평적 기능적 매개체로서의 의미를 지녀 왔다.
예를 들어 이완은 자신이 하루동안 볼펜 회사에서 일하고 그 수당으로 볼펜을 구입하고, 하루동안 동일한 볼펜 회사의 주식에 투자하여 번 돈으로 볼펜을 구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구민자는 뉴욕 레지던시 거주동안에 애틀랜틱과 퍼시픽 에비뉴에서 이국적인 물건을 구입하는 작가의 노동력을 실제 오브제에 부가하여 미술관에서 물건들을 팔았다. 박준범은 거대한 성당 내부의 도면을 실제 성당 사진 위에 부치면서 두 재현 시스템들 사이의 불일치함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이완, 구민자, 박준범은 공통적으로 기존의 물건이나 ‘레디메이드’로서의 각종 시스템들로부터 출발한다. 하지만 이들 작업에서 주어진 일반 물건으로서의 오브제나 시스템들은 그 자체의 물질성이나 물리적인 존재감보다는 사회시스템에 대한 비평적 기능적 매개체로서의 의미를 지녀 왔다.
예를 들어 이완은 자신이 하루동안 볼펜 회사에서 일하고 그 수당으로 볼펜을 구입하고, 하루동안 동일한 볼펜 회사의 주식에 투자하여 번 돈으로 볼펜을 구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구민자는 뉴욕 레지던시 거주동안에 애틀랜틱과 퍼시픽 에비뉴에서 이국적인 물건을 구입하는 작가의 노동력을 실제 오브제에 부가하여 미술관에서 물건들을 팔았다. 박준범은 거대한 성당 내부의 도면을 실제 성당 사진 위에 부치면서 두 재현 시스템들 사이의 불일치함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오브제를 개념적인 행위의 부분으로 차용하고 있는 이들의 작업은 국내외 미술계의 전체적인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오브제 자체의 미학적인 표현 가능성보다는 오브제가 유래한 사회적 맥락과 시스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비단 국내 미술계의 현상만은 아니다. 2012년 리버풀 비엔날레의 대표 커미션 작업 또한 작가가 상파올로 지역의 주민과 물건을 교환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물건들이 전 세계를 여행하고 리버풀까지 돌아오는 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아울러 최근 미술계에서 사회비평적인 예술들 또한 직접적으로 사회나 공동체와 연관을 맺으면서 진행되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새삼스럽게 국내 작가들의 작업에 등장하는 오브제 사용의 양상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이제까지 국내 미술계에서 등장한 오브제 관련 작업들에 대한 비평들이 미흡하거나 편파적이어 왔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주어진 오브제의 개념적이고 비평적인 기능보다는 오브제가 지닌 문화적, 역사적 상징성들이 지나치게 부각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1970년대 일본에서 서구의 정신주의에 반대하는 이우환과 관계성, 1970년대 이승택 작가의 오브제에 대한 많은 설명들은 오브제와 동양철학이 지닌 특수한 시공간의 미학 사이의 연관성들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왔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아이 웨이웨이의 중국 송나라 유물로부터 수도 굽타의 은식기, 아니쉬 카프의 안료에 이르기까지 비서구권 현대미술에서 등장하게 되는 오브제들은 결국 ‘이국적인’ 문화적, 종교적, 역사적 맥락을 현현하는 매개체들로 이해되어져 왔다.
물론 이러한 비평이야말로 서구 현대미술에서 파생된 오브제를 ‘지역적’인 특수성에 맞추어 발전시켰다고 항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오브제 자체에 집중된 비평은 서구 현대미술 실험에 적합한 일종의 비서구권적인 유형의 구색을 맞춰주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의 오브제 관련 작가들 뿐 아니라 비서구권 작가들의 많은 오브제 작업들이 비교적 단순 논리화된 문화적인 정체성, 서구에 비한 정치적 ‘후진성,’ 역사성 등과 연관되어 해석되어져 온 것도 서구권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하여 비서구권의 미술비평이 움직여주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비서구권의 개념 미술들이 서구의 순수미술에 비하여 덜 전문적이고 미학적으로 덜 독립적으로 여겨지거나 서구의 개념적인 오브제에 반하여 ‘이국적인’ 오브제 (혹은 현대화된 공예품-artifact) 정도로 인식될 우려를 낳아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필자는 이완, 구민자, 박준범의 최근 활동과 작업에서 오브제가 고정적이고 이국적인 의미를 지닌 개체가 아니라 유기적인 각종 사회적 시스템을 문제시 하기 위한 비평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중략...
구민자의 <대서양-태평양 상회>
구민자 또한 사회적 가치판단 기준들 (학벌, 경기, 실험의 조건)을 다루어 왔다. 안양공공미술제에 참여한 맞선보기 프로젝트 <잘 살아보세>(2010)에서 배우자의 ‘조건’이라는 통념적인 기준에 맞서서 참가자들은 자신의 ‘각종 배경’을 가린 채 맞선을 보았다. 이외에도 작년 6-8월 금호미술관 그룹전의 ‘대서양-태평양 상회’에서부터 11월 금천 미술공장 전시, 올해초까지 이어진 경기도미술관에서 열린 <<동네미술전>>, 그리고 3월 <<젋은 모색>>전에서는 <스퀘어 테이블 : 예술가-공무원 임용 규정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 작가는 스스로를 일종의 관객 참여를 위한 독특한 이벤트를 일구어내기 위한 다양한 노동자로 변모시켜 왔다.
구민자 또한 사회적 가치판단 기준들 (학벌, 경기, 실험의 조건)을 다루어 왔다. 안양공공미술제에 참여한 맞선보기 프로젝트 <잘 살아보세>(2010)에서 배우자의 ‘조건’이라는 통념적인 기준에 맞서서 참가자들은 자신의 ‘각종 배경’을 가린 채 맞선을 보았다. 이외에도 작년 6-8월 금호미술관 그룹전의 ‘대서양-태평양 상회’에서부터 11월 금천 미술공장 전시, 올해초까지 이어진 경기도미술관에서 열린 <<동네미술전>>, 그리고 3월 <<젋은 모색>>전에서는 <스퀘어 테이블 : 예술가-공무원 임용 규정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 작가는 스스로를 일종의 관객 참여를 위한 독특한 이벤트를 일구어내기 위한 다양한 노동자로 변모시켜 왔다.
그 중에서도 금호미술관에 선보인 <대서양-태평양 상회>는 오브제와 연관하여 가장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이다. 무엇보다도 ‘대서양-태평양 상회’에서 작가는 그가 수집한 이국적인 물건들을 전시해 놓고 관객들에게 첫 번째는 작업실, 두 번째는 시장, 마지막으로 미술관에서 각각 판매하였다.
구민자가 원래 이 작업을 진행하게 된 것은 뉴욕 ISCP 레지던시 기간 중에 영어로 ‘대서양’과 ‘태평양’이라는 이름의 실제 거리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되면서부터이다. 작가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이미 남미, 인도 네팔, 이슬람에서 온 이주민들을 위하여 향신료, 커피, 기름, 차 등의 것들이 판매되고 있었고 관광자의 시점에서 판매하는 “가상 무역회사인 ”Atlantic-Pacific Co.”라는 이름의 회사를 차리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이 하루 동안 걸으면서 물건을 구입한 9시간에 비례하여 9퍼센트를 본래 가격에 첨부하여 판매하였다.
구민자가 원래 이 작업을 진행하게 된 것은 뉴욕 ISCP 레지던시 기간 중에 영어로 ‘대서양’과 ‘태평양’이라는 이름의 실제 거리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되면서부터이다. 작가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이미 남미, 인도 네팔, 이슬람에서 온 이주민들을 위하여 향신료, 커피, 기름, 차 등의 것들이 판매되고 있었고 관광자의 시점에서 판매하는 “가상 무역회사인 ”Atlantic-Pacific Co.”라는 이름의 회사를 차리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이 하루 동안 걸으면서 물건을 구입한 9시간에 비례하여 9퍼센트를 본래 가격에 첨부하여 판매하였다.
그러므로 ‘대서양-태평양 상회’에서 물건은 관객과 작가 소통하는 주요한 매개체이며, 가격은 어떻게 특정한 물건이 문화적, 상징적, 심지어 미학적 가치를 부여 받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기재이다. 뿐만 아니라 관객/구매자와의 소통을 통하여 오브제에 대한 의미가 다양하게 재생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트리니다드 출신의 어느 뉴욕 거주민은 트리니다드 음료수를 발견하고는 그 다음날 국기를 들고와서 작가에게 자신의 나라의 문화에 대하여 설명해주었다. 여기서 고향에서보다 더 큰 돈을 주고 샀음직한 트리니다드의 커피는 이주민에게 고향을 떠올리게 하는 애환이 담긴 물건일 수도 있다. 반면 작가에게는 전혀 낯선 문화나 고장에 대한 호기심을 촉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유독 부모와 학생 관람자가 많았던 금호미술관에서 ‘이국적’인 오브제들은 교육적인 자료로 더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오브제의 의미는 오브제 비평들에서 일견 강조해 온 것과 같이 고정적이거나 단순히 ‘이국적’인 것에 그치지 않게 된다. (과연 어떠한 물건이 이국적인것이냐의 문제도 실은 전적으로 시점의 문제이다.) 나아가서 구민자의 가상무역회사에서 팔고 있는 이국적인 고향의 기억은 전지구화 시대의 양면성을 드러낸다. 이국적인 정취는 전지구화된 관광주의의 시대에 다양한 문화적 이국성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애틀랜틱과 퍼시픽 애비뉴의 이주민들에게 고향의 물건들은 그리움과 이주의 아픔을 담는다. 반면에 금호미술관을 방문하였던 국내의 많은 학부모들과 학생들은 구민자 작가의 오브제들을 통하여 전지구화 시대의 이국적 문화에 대한 지식, 즉 상징적인 자본을 쌓고자 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완의 오브제가 증권시장을 간여하는 방식을 통하여 그 존재감을 드러내듯이 구민자의 오브들 또한 이국적인 상징적 자본이 덧붙여지는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시스템과 전지구화된 현 상황들을 드러내고 간섭하는 매개체라고 볼 수 있다.
Photos via http://www.planccc.com/2013/07/11/minja-gu/
...중략...
2014 고동연
http://www.dongyeonkoh.com/#!magazine-text08/cqya
월간미술 2013,
4월호
in monthly Art Magazine Woolganmisool, April 2013, Seoul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