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비평가 이영준의 사물데이타베이스

이영준展 

전시기간:2007.06.07-06.27

장소: 포스갤러리2관

http://www.photospace.co.kr

고입수험지 합격생 1972년 10월호 (진학사)

『사물데이타베이스』를 통해 본 사진의 겹표상 

사물의 이미지에 대해 좀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전시다. 사물이란 뻔하게 주어져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사물이란 이미지와 텍스트와 관습 등의 겹표상으로 주어져 있다. 그러니까 사진 한 장 가지고 사물을 재현했다고 소리치는 것은 지하철에서 파는 천원짜리 중국제 GPS처럼 좀 허풍일 가능성이 크다. 사진가는 사물에 대한 겹표상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가 예술사진가든 사진관 사진가든 보도사진가든 말이다. 우리의 현실 속의 소통방식은 단표상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우리는 이렇게 물어보는데 익숙해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한 마디로 알기 쉽게 설명해 달라구!" 이 말 자체가 이미 모순을 품고 있는데, 설명이란 사태의 이치를 풀어서 논리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즉 어떤 정황이 왜 그렇게 됐는지 원인과 근거와 전제를 찾아서 남에게 알려주는 것이 설명인 것이다. 그런데 원인과 근거와 전제라는 것이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 말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사물의 단표상이란 가능하지 않다. 그대신, 우리는 겹표상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이영준_산악사진의 영고성쇠_낭가 파르밧 루팔벽
이영준_산악사진의 영고성쇠_마터호른
이영준_산악사진의 영고성쇠_지리산 주능선

데카르트가 말한 개념 중에 연장(extension)이란 것이 있다. 이 세상에 모든 것은 다른 것에 닿아 있다는 말이다. 참으로 맞는 말이다. 책상은 방바닥에 닿아 있고, 방바닥은 벽에 닿아 있으며, 벽은 문에 닿아 있고, 문은 통로와 닿아 있고, 통로는 폐쇄가능성과 닿아 있으며, 폐쇄가능성은 다이나마이트와 닿아 있고, 다이나마이트는 취급주의와 닿아 있고, 취급주의는 실존주의와 닿아 있는 식이다. 이런 잇닿음에는 끝이 없으니, 인간이라면 누구도 거기다 끝을 낼 수 없다. 설사 그가 강력한 말이나 무서운 표정의 권위로 닿음을 끝내려 해도 사물은 뒤에 숨어서 계속 열심히 닿고 있는 중이다. 데카르트가 말 한 건데 누가 감히 거역할 것인가.

잠사 1972년 3월호 (대한잠사회)
전세계에서 온 친구들에 둘러싸인 마오 주석_1959

사물의 겹표상이란 바로 이런 닿음에 대한 것이다. 하나의 표상은 다른 표상에 닿아 있으며, 그 다른 표상은 또 다른 표상에 닿아 있으니, 누구도 그것을 막을 수 없다. 단지, 시간이 없다거나 당장은 처리할 수 없다는 핑계를 대어 잠시 유보할 수는 있다. 그러나 강물을 유보할 수 없듯이, 겹표상의 닿음을 유보할 수 없다. 설명을 한 마디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것이다. 설사 그것이 어린 아이가 그릇을 엎은 아주 단순한 사태라도 말이다. 거기에는 천지의 조화를 꿰뚫는 신명스런 이치가 서려서 그런 사태가 난 것이니, 그것을 어린 아이의 유치함이나 그릇의 잘못된 디자인 탓으로 돌리는 것은 사물의 이치들의 닿음을 끊어버리고자 하는 무모한 시도일 뿐이다.

음식과 이데올로기_네덜란드 정물화
음식과 이데올로기_미국 육군
음식과 이데올로기_한국 육군

『사물데이타베이스』는 서로 닿아 있지 않은 사물들이 어떻게 표상의 차원에서 닿을 수 있는지 보여준다. 마치 꿈속에서는 불가능한 것들이 서로 닿듯이, 사물에 대한 표상은 사실은 우리들의 혼몽한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에서는 지네들끼리 마구 닿고 있는 중이다. 그게 너무나 광폭하고 혼란스러우니까 우리는 애써 그것을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만일 봄들판에 피어난 순진무구한 한 떨기 미나리아재비 꽃의 수술 끝에 묻은 꽃가루 한 개가 일반상대성이론과 닿아 있다면 누가 그런 무시무시한 사태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 말이다. 물론 표상들이 닿아 있다고 해서 사이좋게 닿아 있는 것은 아니다. 표상들은 가재미 눈깔처럼 맞닿아 있지만 서로 못내 꼴 보기 싫어서 각축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개념예술가 조셉 코수드가 사진, 텍스트, 사물로 된 세 가지 다른 상태의 의자를 보여주었을 때, 그는 표상들이 서로 다투는 꼬라지를 보며 즐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건 코수드가 불쌍하고 순진한 쌈닭들을 싸움 붙이는 투계꾼 처럼 심보가 고약해서 그런 것은 아니다. 사물의 표상들은 인간이 안 보는 곳에서도 지네끼리 싸우고 있는데 코수드는 얘네들이 싸우니 와서 좀 보라고 커텐을 열어젖혀 보여준 것뿐이다.

풍경데이타베이스_부감시-聖蹟圖後學錄
풍경데이타베이스_이발은 예술
풍경데이타베이스_티벳 너 꼼짝마!

사진은 무엇과 닿아 있을까? 다른 사진과 닿아 있다. 이 세상에 사진이 딱 하나만 있는 일은 있을 수 없으니 말이다. 사진은 사진하고만 닿아 있을까? 사진은 그림에 닿아 있고, 그림은 말과 닿아 있고, 말은 담론에 닿아 있고, 담론은 실천에 닿아 있고, 실천은 권력에 닿아 있고, 권력은 지구력과 닿아 있고, 지구력은 화성력과 닿아 있고..... 겹겹이 닿아 있다. 드로잉은 예술과만 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기계제도와 닿아 있고, 설계도와 닿아 있고, 지도와도 닿아 있고 지도는 구글 어스와 닿아 있고 구글 어스는 야후와 닿아 있고 야후는 피씨방과 닿아 있고 피씨방은 성수동과 닿아 있고, 성수동은 성수대교에, 대교는 사장교에.... 모두는 모두의 친척인 것이다. 그게 사진의 겹표상이다. 그런데 그 겹표상끼리의 관계는 어떤 것도 스트레이트하게, 즉 있는 그대로 주어져 있지 않고 베베 꼬여 있으니, 이 세상이 원래 그런 건데 누굴 탓하겠는가. 사물이 피사체로 승격되고, 그것이 사진으로 승격되려다가 살짝 삑사리가 나서 드로잉이 되고, 그것이 예술적 드로잉이 되려다가 또 삑사리가 나서 기계적 드로잉이 되고, 기계적 드로잉은 매뉴얼이나 핸드북에도 실렸다가 국정교과서에 실리기도 하고, 이미지비평가나 기계비평가의 손으로 넘어와서는 평론의 담론에 실려 해석의 대상이 됐다가, 심지어는 이렇게 평론가의 개인전이라는 기이한 이벤트의 전시품목이 되기에 이르렀으니, 겹표상들의 삑사리와 방랑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고 할 수 있겠다. 겹표상들이 그렇게 얽히고 뒤집히는 일은 실은 일상에서는 다반사로 일어나는 일이나, 우리가 그간 모른 척 하고 있었을 뿐이다.

Maschinen_서울에서 마지막 남은 전차의 해체, 주간경향 1968년 12월1일호 (경향신문사)
Maschinen_아폴로11호 코맨드 계기판 ⓒNASA
Maschinen_주간경향 1968년 12월1일호 (경향신문사)

사물의 겹표상들을 풀어헤쳐 보면 우리 문명의 속성을 알 수 있지 않을까? 사물의 본질은 사물을 떠나 저 멀리 하늘 꼭대기에 초월적인 차원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겹표상들이 얽혀 있는 그 양상의 네트워크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사물데이타베이스』는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모은 이미지와 글들을 엮어서 겹표상의 관계들을 겨루는 한 판이다. 학문이 하는 일은 단순한 일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본디 겹표상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데 우리들 눈이 게을러서 단표상으로 보이게 되어 있는 것을 눈의 게으름을 걷어 버리고 그 속에 감춰진 복잡한 본래 모습을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이 문장을 줄이면, 학문은 원래 보여야 하는데 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Technical Drawing_940년까지 증기선의 크기성장, Dock and Harbour Engineering, Vol.1, The Design of Docks, Henry Cornick, Charles Griffin & Company Limited, London, 1968
Technical Drawing_산업용 X레이 사진에 쓰는 코닥 필름의 특성곡선, Radiography in Modern Industry, Eastman Kodak Company X-Ray Division, Rochester, NY, 1957
Technical Drawing_에틸렌의 결합혼성궤도함수와 π결합 궤도함수, 인문계고등학교 화학 1981년 (문교부)

『사물데이타베이스』는 학문은 아니다. 그것은 겹표상을 다루는 가상의 학문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다. 딱딱한 문체에 근엄한 그림으로 가득 차 있는 양복 입고 넥타이 맨 학문이 아니라, 위에는 오리털 파카 입고 아래는 몸빼바지 입은 대책 없는 퓨전 학문이다. 사물과 표상들을 한 줄로 세우는 무겁고 우울한 고등학교 교장 선생님 같은 학문이 아니라 즐겁고 여러 줄의 표상들이 규칙을 무시하고 마구 뒤섞이는 괘씸하고 발랄한 학문이다. 만일 옥스퍼드대학 총장이 와서 여기다 어디 감히 학문이란 말을 붙이냐고 따지고 들면 나는 말 할 것이다. 당신은 그 잘난 학문으로 용돈이 적다고 아들이 엄마 따귀 때리는 집안의 흉흉한 기운을 다스릴 수 있냐고. ■ 이영준

https://neolook.com/archives/20070608g


http://prologue.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oto3570&logNo=120038855697&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