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각이상: 피의 온도>전 리뷰

피, 붉음의 메타포를 넘어서다 <색각이상: 피의 온도>전 

2016.12.13-12.20  국립현대미술관 외 


 회화에서 피는 거의 항상 상징물로서 취급되었다. 비엔나 행동주의자들은 나치즘 혹은 인간 일반의 폭력성을 상징하기 위해서 피를 사용하거나 혹은 이를 대신하여 붉은색 물감을 인체나 벽면 혹은 캔버스에 들이부었다. 1㎠의 붉은색과 1㎡의 붉은색은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준다는 통찰을 통하여 형상과 배경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화면을 거의 붉은색으로 칠한 마티스(Henri Matisse)의 시도 역시 붉음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극대화하고자 한 것이다. 엄청난 양의 피를 보고 감정적 동요를 일으키지 않을 사람은 없을 터이며, 이러한 기제는 엄청나게 큰 붉은 화면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이 될 것이다. 회화에서 전통적으로 피는 붉은 색으로서 폭력, 흥분 혹은 열정과 같은 정서적인 상징으로 취급된 것이다.  

<색각이상: 피의 온도>전은 지금까지 회화적 관행과는 다른 방식으로 피에 대해서 접근하고 있다. 이 전시에 참여한 다섯 그룹은 모두 피라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피에 대한 전통적 회화의 관행에서 벗어나 피를 단지 정서적인 상징이 아닌 인간을 넘어선 생태일반과 인간의 순환체계의 기본적인 대사물질로 확장하고자 한다. 그래서 이 전시에 참여한 다섯 그룹의 작품을 관통하는 피에 대한 주요한 포인트는 ‘순환’이라고 할 수 있다. 윌리엄 하비(William Harvey)의 ‘혈액 순환설’에 따르면 피가 우리의 온 몸을 순환하면서도 일정량의 항상적인 체계를 유지한다. 이는 우리 신체를 유지하는 가장 근본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피를 단지 열정이나 죽음과 생명의 상징이 아닌 순환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이미 피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즉 과학적인 상상력의 개입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들의 작업은 고대 희랍어의 어원적 의미에서 시적 상상력, 즉 포에인(poein)에 기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포에인이란 ‘시’를 의미하는 포에시스의 원천이지만 동시에 일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과 노동은 현실적 기반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항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전제한다. 가령 랩스튜디오(김태연)의 <인공의 섬>은 인간의 혈액순환체계를 인간과 생태계의 공존적인 순환체계로 확장하려고 시도한다. 관람객은 빨대를 통해서 숨결을 내쉬고 이 숨결에 의해서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녹색 빛의 순환을 가시적으로 경험한다. 호흡은 산소의 투입이며 산소는 혈액이 운반하는 가장 주요한 물질이다. 그런데 이러한 호흡이 인간이 아닌 녹색의 생태로 투입되어 인간과 자연의 공존체계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정지필, 전혜정, 권순왕으로 구성된 ‘혈의 생’팀 역시 자신들의 그룹 이름과 똑같은 이름의 작품을 통해서 피를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는 순환적 매개 고리로 표현한다. 이들은 인간의 피를 빨아먹은 모기를 압착하여 접사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그것을 흡혈이라는 끔찍한 과정이 아닌 하나의 순환과정으로 관조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다양한 동물을 초록색풀로 형상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이나 동물의 피가 식물들의 자양소가 된다는, 이들의 표현을 빌자면 피를 먹는 식물이라는 다소 그로테스크한 자연과학적 아이디어는 인간을 정점으로 한 생태계의 수직적 피라미드체계를 거부하고 수평적인 공생관계를 위한 하나의 과학적 상상력을 제시하는 것이다.  
김나영, 그레고리 마스(Gregrory Maass), 박수지가 한 팀을 이룬 킴킴갤러리의 <홀 블러드> 역시 분수라는 은유적인 형태를 통해서 생명의 순환이라는 측면에서 피를 접근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이러한 순환체계의 물질인 피에 대해서 신화적으로 접근하는 인간의 태도를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혈액형의 문제와 대비하여 과학과 신화의 문제를 새롭게 제기한다. 

소수빈, 장인희 작가로 구성된 김소장 실험실의 <새로운 공-존 시스템>은 고려대 생태연구소의 외래종 가시박 연구를 토대로 가시박이라는 생태파괴형 식물이 궁극적으로는 생태계 자체의 항구적인 순환체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관객 참여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이들의 작업은 비록 직접적으로 피와 상관없이 보일지는 몰라도 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이 전시를 관통하는 근본적인 취지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김지수, 심선명, 이다영으로 구성된 그린블러드의 작품 <페트리코> 또한 인간과 생태계의 공생적 순환을 매우 잘 보여준다. 이들은 돔 형태의 인터렉티브 설치물을 전시하였는데 관객은 이 돔에 앉거나 누움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페트리코’라는 작품의 제목은 그리스어로 돌을 의미하는 ‘페트라’(petra)와 신화 속의 신들이 흘린 피를 의미하는 ‘이코(ichor)’를 합성한 합성어로서 식물의 발아과정에서 분출된 기름이 비와 함께 자연에 섞여내는 냄새를 말한다. 관객은 돔 속에서 자연의 냄새를 맡고 안정감을 느끼는데 자연이 뿜은 냄새는 궁극적으로 인간이 내쉬는 호흡과 무관하지 않는 순환체계를 이루는 것이다. 
●  박영욱 숙명여대 교수 
http://www.artinpost.co.kr/bbs/m/mcb_data_view.php?type=mcb&ep=ep1161723482545322e18d647&gp=all&item=md13864276665869f2ef96045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