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들 Tactics

백남준아트센터 Nam June Paik Art Center, Yongin

2021. 2. 25 ― 6. 3

참여작가: 구민자, 송민정, 전소정, 요한나 빌링, 배드뉴데이즈, 박선민, 박승원, 요나스 스탈 & 로레 프로보 Gu Minja, Song Min Jung, Jun Sojung, Johanna Billing, Bad New Days, Park Sunmin, Park Seungwon, Jonas Staal & Laure Prouvost


모두가 예외 없이 겪는 일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대유행이 그렇습니다. 예외 없다는 말은 그 누구도 벗어날 수 없다는 뜻이지만, 그렇다고 그 영향이 모두에게 같은 정도로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처한 삶의 여건에 따라 누군가에게는 바이러스가 더욱 치명적으로 덮쳤고, 의학적 개체인 바이러스가 저마다 다른 사회적 양상으로 국가와 제도에 격동을 일으켰습니다. ‘예외 없음’의 안에서도 차별과 불평등이 일어났고, ‘과학적’ 데이터가 정치화되어 감시와 억압의 도구가 되기도 했습니다. 바이러스는 다양성과 개방성에 대한 신념을 흔들리게 했으며 국수주의, 민족주의의 맨얼굴을 드러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가차없는 바이러스와의 전쟁 속에서 서로 맞닿고 맞잡기 힘든 작은 개인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이 낳은 폐쇄와 고립, 소외와 배제, 분노와 혐오가 우리 삶을 얼마나 할퀴었는지 헤집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일상의 맥동을 다시 맞추는 메트로놈을 세워 그 박절에 따라 무엇인가를 해야 합니다. 따로 또 같이 사각거리고 보글거리는 행동, 그렇지만 그 사각거림과 보글거림이 계속되고 모이면 거센 힘들의 경화를 막을 수 있는 행동, 그래서 저항이 되고 공존이 되고 연대가 되는 행동, 백남준아트센터의 이번 전시는 그러한 행하기의《전술들》을 발의합니다.

There are events in which no one is an exception. A pandemic is one of them. No exception means no one can escape. However, the impact is not equal to everyone.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life, the coronavirus has been more lethal to some people. The virus, a medical entity, has caused more fundamental turbulence to some national or social systems. Within the border of ‘no exception,’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have been reinforced; and certain ‘scientific’ data has become politicized as a device for surveillance and suppression; and the virus has shaken the faith in diversity and openness, revealing the bare face of nationalism and chauvinism.

What should we do then? As just a single individual finding it hard to get together with each other riven by the war against virus, what can we do? It is imperative to look into how much the isolation, alienation, exclusion, stigmatization, and hate speech, all brought about by the fear of the virus have devastated our lives. We should reset a metronome of our lives and do something in time with it. We might only do simple and small actions, like murmuring or simmering. If the actions can continue and spread, nevertheless, they could perhaps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fierce forces. Such moves might evolve into resistance,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is exhibition at Nam June Paik Art Center proposes Tactics of the moves.

https://njpac-en.ggcf.kr/tactics/



https://www.facebook.com/photo?fbid=3338915689541790&set=pcb.3338917606208265



구민자, 〈Assume That ~ / ~라고 치자〉, 2021
오브제 설치, 가변크기  object installation, dimensions variable 
당신은 ‘절대적 진리’라고 생각하는 과학적, 삶의 원리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원리의 본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가? 아니면 그것을 그냥 ‘그렇다 치고’ 믿고 있는 것인가? 코로나 19 이후 우리는 살면서 겪었던 그 어떤 일상의 변화보다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다. 과학과 의학이 발전한 문명의 시대라고 생각한, 인간이 이뤄낸 기술력의 정점에서 우리는 원시시대의 인류처럼 ‘생존’을 위한 집단적 생활수칙을 바꾸고 있다. 과연 우리가 믿고 신봉한 과학적 진리는 존재하는 것인가? 구민자 작가의 〈~라고 치자〉는 이러한 질문들 속에 존재한다. 헤드폰을 끼고 전시장에 놓인 문을 열고 들어간 검은 방 안에서 우리는 작가가 던지는 질문들을 만난다. “이 공간에 중력이 사라져 간다고 쳐 봅시다.” “지금 이 공간에 경계는 없다 치고, 모서리도 없다 치고, 아주 넓은, 아주 넓게 계속되는 곳이라고 쳐 봅시다.” 공간을 나와 만나는 풍선, 칠판, 슬라이드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질문들 속에서 일상 속에서 우리가 만나는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가정의 질문들의 연쇄는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에 대한 물음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https://neolook.com/archives/20210225a
http://www.dh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1552

[뉴스인오늘]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김성은)는 2월 25일부터 6월 3일까지 2021년 첫 번째 기획전 《전술들》을 개최한다.

2020년 ‘세계화’의 절정이 아닐까 싶은, 온 국민이 전 세계를 제집 드나들 듯이 살고 있다고 느끼던 바로 그때쯤 시작된 전염병으로 인류는 전대미문의 일을 겪고 있다.

철학자들과 미래학자들은 팬데믹 상황이 우리를 원시시대와 같은 “생존을 위한 사회”로 회귀시키고, 자본의 불균형은 죽음 앞에 더욱더 양극화돼 비민주적으로 작동하게 될 것임을 경고하고 있다.

또한 이 바이러스가 모두에게 ‘혐오’의 라이선스를 부여한 듯이 차별과 혐오의 발언을 당연하게 내뱉는, 일상의 “마이크로 파시즘”이 횡행하는 이 상황을 상기할 필요가 있음을 환기시키고 있다. 우리는 이런 상황 아래 “‘어떻게’ ‘함께’ 살아 갈 것인가?”라는 저 단전에서 끌어올려 정색하는 질문을 마주하고 있다. 개인과 공동체는 이 질문 앞에 새로운 생존 전술, 저항 전술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차별과 불평등에 저항하는 법, 디지털 감시를 감시하는 법, 쏟아져 나오는 댓글과 가짜 뉴스를 가려내는 지각, 혐오가 불러일으키는 어리석고도 무분별한 폭력에 맞서는 법, 바이러스 이전에도 깊었고, 이후에는 더욱 깊어지는 양극화된 자본시장을 교란하는 법. 사물에 말 걸고 그것의 역사를 인지하는 것, 인간과 자연과 사물과 공존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고 실천하는 것, 감시체계 속에서 일상을 축제의 리듬으로 전환하는 것, 타인에 대한 공포를 연대와 공감의 가능성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찾는 새로운 “전술” 말이다.

《전술들》은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 자연과 사물 그리고 인류가 공존할 수 있는 삶의, 그리고 예술의 전술을 고민한다. 전시에서 사용하는 ‘전술’은 프랑스 학자 미셸 드 세르토의 개념이다. 세르토에게 전술은 근대사회에서 소외된 타자들이 일상에서 공고화된 권력에 저항하는 일상의 저항적인 실천의 방식, “주체의 수행성(performative)”에 대한 논의와 결합된다. 《전술들》의 작가들은 전시(戰時)와도 같은 이 시기에 몸으로 행하는 작은 ‘수행’들로 틈새를 만든다.

사물도 동등한 권리를 가진 새로운 연합체인 “모호한 연합”을 구축하고(로레 프로보 · 요나스 스탈), 소도시의 작은 커뮤니티를 구제하기 위한 공공의 안무를 짜고 퍼포먼스를 수행하며(요한나 빌링), 화물노조 운전기사들의 투쟁 동선을 따라 ‘트럭 운전자들의 브이로그’를 스트리밍 한다(배드 뉴 데이즈). 장난감에게 ‘고도를 기다리며’를 읽어주면서 끝없는 기다림을 되새기고(박승원), 끈질긴 응시를 통해 이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지 사유를 정돈하고(박선민), 도시의 주변인, 스케이터들을 따라 도시의 동선을 재편하고 이를 통해 타자에 대한 이해와 포용에 대해 이야기한다(전소정). 가상의 세계, 시간의 혼재 속에서 언어와 문자를 축적하여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을 모색하며(송민정), 과학과 의학의 발전이 정점에 이르렀다 여겨지는 현재,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역설적 상황 속에서 과학적 진리와 규칙에 대해 다시 질문한다(구민자).

전시 《전술들》은 타자가 억압과 감시의 대상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작은 이야기로 그 체계를 균열 내는 움직임을 보고자 한다. 어쩌면 이 작은 예술적 실천들을 밀어 넣어 단단한 세상 속을 들여다 볼 작은 구멍을 내 볼 수 있을지 모른다는 무모한 기대와 함께 말이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