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좋아하는 남자는 섹스도 좋아해?

 

오철우 기자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525754.html?utm_source=twitterfeed&utm_medium=twitter

연극무대 선 교수·대학원생…“라면 통해 과학이해 돕는 실험극”
“우리가 라면을 먹는 게 아니라 산업생산 시스템이 우리에게 라면을 먹이는 겁니다. 라면은 제품이 아니라 프로그램입니다. 이에 저는 오늘 이 자리에서 자연과학과 인간 통찰을 융합하는 새로운 학문, ‘라면과학’을 제안합니다.”

무대에 선 자칭 ‘비평과학자’(이영준 계원예대 교수)는 짐짓 선언적인 어투로 이렇게 말하며, 첫 연구 주제로 ‘라면의 남성성’을 분석할 것을 주문한다. 이어 동물행동학자·뇌과학자·분자생물학자가 차례로 등장해 자신이 이룬 라면과학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27일 오후 서울 용산 서계동에 있는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리허설이 한창인 이색 과학연극 <라면 앙상블>(연출 이영준·김나영)은 과학학과 분자생물학을 공부하는 대학원생 4명과 이 교수가 지난해 여름부터 준비한 실험극이다.

“몇 달 동안 연구논문들을 찾아 읽으며 대본을 만드는 일이 가장 힘들었어요.” 임소연(35·서울대 과학사·과학철학협동과정)씨는 “라면과학의 이야기는 당연히 허구이지만 허구와 사실을 뒤섞어 사실처럼 관객에게 보여주려는 게 이 연극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허구는 그럴 듯하게 이어진다. ‘동물행동학자’(임소연)는 남자들의 집단적 라면 소비가 진화적 적응 전략의 산물임을 게임이론의 수학 모형으로 입증하고, ‘뇌과학자’(장하원)는 남자가 라면 자극을 받을 때 활성화하는 뇌 부위는 성적 자극 때의 활성화 부위와 일치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는다. ‘분자생물학자’(김연화·온봄)는 라면에서 남성호르몬과 관련 있는 성분을 찾아냈다고 말한다.

라면의 허구가 왜 엉뚱하게 무대에서 엄정한 과학과 만났을까? 이 교수는 “과학을 풍부하게 이해하는 지적 재미”라며 “과학은 늘 엄밀하다고 말하지만 사실 과학 활동을 하는 인간은 여전히 모호하고 주관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돌아보는 무대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국제다원예술축제 ‘페스티벌 봄’의 참여 작품으로 28·29일 두 차례 공연한다. 실험극을 담은 책도 나올 예정이다.

크게

작게

No comments: